조선 초기부터 군악에 쓰이던 북의 하나이다. 교방고(敎坊鼓)의 제도와 거의 같으나 다만 북통의 운두(高)가 높이 있는 것이 다르다. 교방고처럼 북통의 둘레에는 반룡(蟠龍)이 그려져 있고, 네 발로 된 틀(趺) 위에 올려져 있되 역시 교방고처럼 북의 가죽면이 위로 가도록 하여 위에서 내리치게 되었다.
『악학궤범』에 보면 둑제(纛祭) 제향에서의 아헌(亞獻) 춤에 소금(小金)을 세 번 치고 이와 동시에 중고를 치고 대금(大金)을 쳐서 1절(節)을 삼는데, 북이 먼저이고 징(대금)이 나중이다. 종헌(終獻) 춤에는 오직 중고만 치고 철변두에도 또한 중고만 쳤다.
중금 2인은 다른 악공같이 모두 갑옷과 투구의 융복(戎服)을 착용하였다. 중고는 가죽면 지름이 2척 5촌, 북통의 길이 2척 2촌 5푼, 통둘레 8척 8촌, 틀의 높이 3척 6촌 5푼, 틀의 너비 3척 4촌 5푼이다. 실제 주악에는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