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노귀새남 · 진 오귀굿이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천도(薦度)시키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 씻김굿 · 오구굿 등과 그 기능이 같다.
사람이 죽어 매장한 뒤 곧바로 하는 진 지노귀와 탈상 무렵 또는 몇 년 후에 날을 받아서 행하는 마른 지노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지노귀굿이라는 명칭을 사용해도 서울 · 경기지역과 황해도의 지노귀굿은 그 절차 및 내용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먼저 서울 · 경기지역의 마른 지노귀굿의 절차를 보면 일반적인 재수굿에 망인천도 내용이 첨가된다.
즉, 부정(不淨) · 청배(請陪) · 가망 · 말명 · 상산(上山)마누라 · 별상 · 영실 · 대감(大監) · 제석(帝釋) · 창부(倡夫) · 뒷전 등이 먼저 행해지는데, 이는 영실만 제외하고는 재수굿과 대동소이한 것이다. 영실은 무당에게 망인의 넋이 실려 넋두리하면서 가족과 친지들을 만나보는 굿이다.
이어서 본격적으로 망인을 위한 굿이 다시 시작되는데, 뜬대왕(시왕가망) · 중디청배(시왕중디) · 아린말명(시왕말명) · 사제삼성 · 말미 · 도령돌기 · 뒷영실 · 다리가르기 · 지노귀뒷전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저승을 관장하는 열시왕〔十大王〕을 모시고 조상(말명)을 모셔들인 다음, 망인을 저승으로 데려갈 사재〔使者〕를 청한다.
말미는 저승에 가서 약물을 구하여 와 부모를 살린 효녀 바리공주의 일대기를 창하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바리공주는 무조신(巫祖神)으로 신앙된다. 도령은 바리공주가 망인을 모시고 저승으로 천도하는 과정을 연극적으로 모의하는 굿이다.
마지막으로 망인의 넋두리와 가족과의 작별인 뒷 영실을 하고, 무녀가 무명과 베를 몸으로 가르는 것으로 저승으로 가는 길을 갈라준다. 다리가르기는 저승 가는 길을 똑바로 인도해준다는 의미 외에 이승과 저승을 확연히 갈라 이제부터 망자는 이승에 머물 수 없는 존재임을 암시하는 의미도 가진다. 끝에는 지노귀뒷전으로 굿을 마친다.
이상 지노귀굿 특유의 내용을 요약하면 영실 · 시왕 · 사재 · 말미 · 도령 · 다리가르기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황해도 지노귀굿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황해도 진지노귀굿은 초부정 · 수왕제석 · 사재 · 넋대내림 · 맑은혼맞기 · 시왕가르기 · 뒷전으로 진행된다. 초부정굿에서는 조상과 망인의 넋을 모셔들인다. 수왕제석은 열시왕을 모시는 굿이고, 사재는 사재삼성과 동일하다.
넋대내림과 맑은혼맞기는 황해도 지노귀굿 특유의 것인데, 가족이나 친지가 대를 잡아 망인의 넋을 받는 것이다. 서울 · 경기지역의 영실과 비슷하지만 무당이 아닌 일반인에 의하여 넋두리가 행하여진다는 점이 다르다. 넋두리와 한풀이로 깨끗해진 혼을 맞아들인 다음 저승으로 천도하는데, 시왕가르기는 다리가르기와 동일한 의례이다. 그러나 황해도지역에는 바리공주무가가 전승되지 않고 있다.
강신무들에 의해 행해지는 지노귀굿은 세습무들이 행하는 씻김굿이나 오구굿과 그 목적이 같다. 하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지노귀굿에서는 무당이 죽은 이의 넋을 올려 넋두리를 하면서 한을 풀게 되는데, 오구굿에는 친지가 넋을 올리는 강신너름이 있어 이를 대신한다. 씻김굿에서는 고풀이와 씻김이 죽은 이의 한을 풀고 깨끗한 존재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또한 지노귀굿의 도령과 길가름은 씻김굿이나 오구굿의 길닦음과 같이 망인을 저승으로 보내는 굿이다. 이렇게 굿을 받은 망인은 생전의 한을 풀고 저승으로 가고 산 사람은 죽음의 부정에서 벗어나 이승에 남는 생사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서 굿을 마치게 되는 것은 모두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