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에 기재되어 있다. 소양인의 병증은 비수한표한병(脾受寒表寒病)과 위수열이열병(胃受熱裡熱病)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위수열이열병은 다시 흉격열증(胸膈熱證)과 이열변폐증(裡熱便閉證)으로 구분된다.
흉격열증은 비위(脾胃)의 청양(淸陽)이 상승하지 못하여 두부(頭部)나 면부(面部) 등 상초(上焦) 부위에 풍열(風熱)이 생기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증세가 심하여 대장의 청양이 상승되지 못하고 쇠약해지면 이열변폐증이 생기게 되는데 지황백호탕은 바로 이 경우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이 처방의 구성은 석고(石膏) 18.75∼37.5g, 생지황(生地黃) 15g, 지모(知母) 7.5g, 독활(獨活)·방풍(防風)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으로는 소양인의 중장이변폐(中臟二便閉)·양명병번조(陽明病煩燥)·섬어(譫語:헛소리)·대변불통(大便不通)·결흉(結胸)·해수(咳嗽)·학질(瘧疾)·전간(癲癇:발작적으로 의식장애가 오는 병증)·전광(癲狂:정신착란)·소변불리(小便不利)·두통(頭痛)·소아마비(小兒痲痺)·뇌염(腦炎) 등이 있다.
이 처방은 장중경(張仲景)이 만든 백호탕에서 감초(甘草)와 경미(梗米)를 빼고 생지황·방풍·독활을 첨가한 것이다. 즉, 군약(君藥)인 석고는 윤신자음(潤腎滋陰)하면서 신화(腎火)를 사(瀉)하고, 생지황의 보음자수(補陰滋水)하는 힘을 이용하여 화(火)의 작용을 억제하고 모든 혈역(血逆)하는 증세를 평정하게 한다.
지모는 이를 돕고, 방풍의 상중초(上中焦)의 풍열(風熱)을 제거하고 비위경(脾胃經)의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작용과 독활의 신경복화(腎經伏火)를 조절할 수 있는 작용을 이용하여 남은 사기(邪氣)를 없애도록 한 것이다. 이 처방에다가 시호(柴胡) 3.75g을 가하면 표증백호탕(表證白虎湯)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