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직성은 ,곧 나후직성(羅喉直星:제웅직성) · 토직성 · 수직성 · 금직성 · 일직성 · 화직성 · 계도직성 · 월직성 · 목직성을 말한다.
남자는 10세에서 시작하여 나후직성이고, 11세는 토직성, 12세가 수직성의 순서로 나아가 19세가 되면 다시 나후직성이 되어 한바퀴 돌아간다. 또, 여자는 10세가 목직성이고 11세는 나후직성, 12세는 토직성의 순으로 돌아가서 19세면 다시 목직성으로 되돌아간다.
나후직성을 예로 들어보면, 이것은 흉한 직성으로 구설수가 있고 재수가 없는 불길한 직성이다. 남자는 10·19·28·37·46·55·64·73·82세가 나후직성이고, 여자는 11·20·29·38·47·56·65·74·83세가 나후직성이다. 나이수에 따른 직성은 〈표〉와 같다.
구분 | 직성 이름 | 만나는 나이 |
---|---|---|
남자 | 나후직성 | 10·19·28·37·46·55·64·73·82 |
토직성 | 11·20·29·38·47·56·65·74·83 | |
수직성 | 12·21·30·39·48·57·66·75·84 | |
금직성 | 13·22·31·40·49·58·67·76·85 | |
일직성 | 14·23·33·42·51·60·89·78·87 | |
화직성 | 15·24·33·42·51·60·89·78·87 | |
계도직성 | 16·25·34·43·52·61·70·79·88 | |
월직성 | 17·26·35·44·53·62·71·80·89 | |
목직성 | 18·27·36·45·54·63·72·81·90 | |
여자 | 나후직성 | 11·20·29·38·47·56·65·74·83 |
토직성 | 12·21·30·39·48·57·66·75·84 | |
수직성 | 13·22·31·40·49·58·67·76·85 | |
금직성 | 14·23·32·41·50·59·68·77·86 | |
일직성 | 15·24·33·42·51·60·69·78·87 | |
화직성 | 16·25·34·43·52·61·70·79·88 | |
계도직성 | 17·26·35·44·53·62·71·80·90 | |
월직성 | 18·27·36·45·54·63·72·81·90 | |
목직성 | 19·28·37·46·55·64·73·82·91 | |
〈표〉 直星順飛圖 |
『동국세시기』는 이것을 상원조(上元條)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풍속에 복설(卜說)을 믿어 나이가 일직성과 월직성을 만난 사람은 종이로 해와 달의 모양을 오려 나무에 끼워 지붕의 용마루에 꽂는다.
또, 달이 뜰 때 횃불에 불을 붙여 달을 맞이하기도 한다. 또, 수직성을 만난 사람은 종이에 밥을 싸서 밤중에 우물 속에 던져 액을 막는다. 그러나 풍속에 나후직성을 가장 꺼린다.
그래서 나후직성이 들면 액을 막아야 하므로 짚으로 허수아비를 만들어 배에 나이수대로 동전을 넣고, 본인의 생년월일을 종이에 써서 넣어 정월 열나흗날 밤에 길거리나 개천에 버리면 액을 미리 방지할 수가 있다고 믿었다.
여자는 허수아비 대신 종이에 자기 얼굴을 그려 돈을 싸서 길거리나 개울에 버리면 주어간 사람이 액을 대신하게 된다고 전한다. 이와 같이, 각 직성에 따라 푸는 방법이 다르다.
『경도잡지』에도 이것을 기록하고, 『동국세시기』와 같이 이 처방이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에서 유래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직성보기는 여러 가지 변화형을 보이면서 지금도 민간에 전승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