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 죽곡동 주거지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굴조개 · 뗀돌칼날 · 민무늬토기 등이 출토된 집터. 동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굴조개 · 뗀돌칼날 · 민무늬토기 등이 출토된 집터. 동굴.
내용

1973년 10월 8일 문화공보부의 요청에 따라 동아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하였다. 바다를 향해 서쪽으로 전개되는 계곡 안쪽의 북쪽 암벽에 있으며, 계곡은 길이 100m, 최대 너비 50m 정도였다.

동혈(洞穴)은 입구가 공사 중 일부 파괴되었으므로 조사시의 규모는 길이 19.5m, 너비 4m, 높이 7.5m였으나, 원래의 길이는 2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암벽은 규사암굴(硅砂岩窟)로서 표면이 부드럽게 풍화되어 있었으며, 원시 바위그림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너비 4m의 동굴 내에서는 0.1∼0.2m 길이의 순으로, 동굴 입구에서는 두께 0.8m 정도의 퇴적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조개껍질층[貝殼層] 두께의 평균을 0.5m로 잡는다면 11m×4m×0.5m의 아주 작은 규모의 유적이라 할 수 있다.

깊이는 0.8m가 가장 깊고 그 밑에는 지하수가 솟아나며, 그 아래 암반까지는 아무런 유구나 유물도 없는 약 60㎝ 두께의 갈사분층(碣砂粉層)으로 되어 있다. 동굴 전정(前庭)의 경사각은 45°이므로 문화층의 발견이 어려웠다.

유물은 자연유물과 인공유물로 나뉜다. 자연유물은 굴조개(99.0%)와 소라고동(0.1%) 두 종류로 수렵을 겸한 흔적은 찾아볼 수 없고, 다만 굴조개를 주식으로 했다는 사실만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 해안지대에 형성된 조개더미인[貝塚人]의 습성과 같다고 생각된다.

인공유물은 석기로는 뗀돌칼날[打製石刃] 2점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껍질을 벗기는데 사용한 듯하다. 가공한 패각류는 숟가락과 비슷한 형태의 것으로 이들을 단순한 실생활의 유물로 생각해도 좋을지 의문스럽다.

또한 토기는 일종의 민무늬토기로서 물레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빚은 조질성(粗質性) 적갈색계통의 연질토기(軟質土器)이다. 바탕흙[胎土]에는 사립(砂粒)이 섞여 있고 때로는 흑회색을 띠고 있는 파편도 있었다. 기면(器面)의 처리는 적색진흙이 도장(塗裝)되어 있고, 몸체[器體]의 내부에는 솔같은 것으로 한번 쓴 자국도 있었다.

몸체의 형태는 바닥에 따로 만들어 붙인 불안전한 평평한 바닥[平底] 파편 7점이 있었고, 아가리[口緣部]는 모두 곧은아가리의 파편 뿐이었다. 이는 서해안 유적에서 출토되는 민무늬토기의 일종인 팽이토기[角形土器]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팽이토기의 아가리는 외반하든가 또는 이중으로 겹쳐진 진흙대[粘土帶]이거나 점문(點文)이 찍혀 있는데 비해, 이 토기는 그러한 사실과는 전혀 다르므로 선사시대 토기형식의 분류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유물의 출토상황이 심히 교란되어 팽이토기편과 현대 와편(瓦片) 등이 혼재되어 있었으나 신라토기편이나 그 후대의 유물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 유적은 소규모의 동혈주거지로서 단기간에 걸쳐 채집경제생활을 하며 민무늬토기를 사용하던 주민들의 생활 유적이었다. 그러나 평지에 구성된 넓은 선사시대 유적과는 달리, 동혈주거지라는 점에서 그 예가 드문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진해동혈주거지발굴조사보고」(김동호, 『문화재』8, 1974)
집필자
심봉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