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비롯되었다.
처방은 계지(桂枝) 11.25g, 백작약(白芍藥) 7.5g, 천궁(川芎)·창출(蒼朮)·진피(陳皮)·감초(甘草) 각 3.75g,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로 되어 있다. 이 처방은 장중경(張仲景)의 계지탕(桂枝湯)에 천궁·창출·진피를 첨가한 것이다.
울광초증(鬱狂初症)은 태양경병(太陽經病)과 같은 표실증(表實症)을 이르는데, 소음인은 비소(脾小)하므로 항상 비위(脾胃)에 탁기(濁氣)가 울결(鬱結)하기 쉬운데, 계지탕은 이러한 울결을 풀기에는 그 작용이 부족하다.
왜냐하면 계지는 폐(肺)와 방광경(膀胱經)의 사기(邪氣)를 없애는 데에는 족하지만 중초(中焦)의 울결을 풀어줄 능력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천궁은 청양(淸陽)을 풀면서 해울(解鬱)시키는 약이므로 능히 탁음(濁陰)을 물리칠 수 있다.
또, 창출은 조위건비(燥胃健脾)하면서 위중양기(胃中陽氣)를 발산하는 약이고, 진피는 비(脾)와 폐의 기분(氣分)에 들어가 조중쾌격(調中快膈)하고 순기거체(順氣去滯)하는 약이다.
따라서 계지탕이 천궁·창출·진피가 가해짐으로써 소음인이 지니고 있는 울결이 될 수 있는 약점을 없애면서 사기를 물리치는 처방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