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리 협동농장 ( )

목차
산업
단체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강서구역에 있는 협동농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강서구역에 있는 협동농장.
내용

총 경지는 약 1,000여 정보로서 이 중 논이 70%, 밭 13%, 과수원 15%, 뽕밭 2%이며, 영농의 대부분이 기계화되어 있다.

1960년 2월 김일성(金日成)이 15일간 직접 현지지도를 한 뒤부터 대표적인 시범농장이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농업분야의 지도관리체계를 개선한 청산리방법이 제시되었다.

이 방법은 공업관리체계인 ‘대안의 사업체계’와 더불어 생산지도관리원칙의 전형이 되고 있으며, 이 방법에 따른 농장원들의 호응을 ‘청산리정신’이라 하여 모든 활동의 모범으로 삼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