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진만 ()

목차
자연지리
지명
함경북도 청진시 고말반도와 농포동 사이의 동해쪽으로 열려 있는 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북도 청진시 고말반도와 농포동 사이의 동해쪽으로 열려 있는 만.
내용

낙타산(駱駝山, 445m)에서 평균고도 200m 이하의 구릉성산지로 이어진 고말반도에 둘러싸여 있으며, 만의 입구는 남쪽으로 열려 있다. 만의 너비는 약 4㎞이고 수심은 10∼17m이다.

겨울에 내만의 연안부근이 결빙될 때도 있으며, 해빙기에는 소련의 연해주로부터 유빙이 북한한류를 타고 내려오기도 한다. 청진만내에는 관북지방 제1의 도시이며 무역항인 청진시가 있다.

청진시는 청진만으로 흘러드는 수성천(輸城川)의 하구 양안에 발달한 항구도시로서, 1908년 개항되기 전까지는 100여호에 불과한 한적한 소어촌이었으나 개항 이후 계획된 항구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1929년 함경선의 개통과 함께 무역항으로 변모하였다.

광복 이후 청진은 관북 제1의 무역항일 뿐만 아니라 육상교통의 요충지이며, 중화학공업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주요공업은 철강·기계·화학·조선·섬유·수산가공업 등이며, 대부분의 공장은 수성천 하구 양안에 건설된 공업단지에 입지한다.

참고문헌

『신편한국지리(新編韓國地理)』(정장호, 우성문화사, 1982)
『한국연안수로지(韓國沿岸水路誌)』(대한민국수로국, 1981)
『신한국지리(新韓國地理)』(강석오, 새글사,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