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얼레미(어레미)
얼레미(어레미)
식생활
물품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거르는 데 쓰는 용구.
목차
정의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거르는 데 쓰는 용구.
내용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거르는 데 쓰는 용구. 나무를 얇게 켜서 겹으로 끼운 두개의 바퀴 사이에 말총이나 헝겊 또는 나일론천이나 철사 등으로 바닥을 메운 용구이다.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체(籭)’로, ≪사시찬요 四時纂要≫에는 ‘사(篩)’로 표기되어 있다.

체는 쳇바퀴·아들바퀴·쳇불로 이루어진다. 쳇바퀴는 체의 몸이 되는 부분으로 얇게 켠 나무를 둥글게 말고 한쪽에서 솔뿌리 또는 실로 꿰매어 원통형으로 만든다. 아들바퀴는 쳇바퀴 안쪽으로 들어가는 바퀴이며 쳇불은 쳇바퀴에 매어 액체나 가루를 걸러내는 그물이다. 또한, 체는 쳇불 구멍의 크기에 따라 어레미·도드미·중거리·가루체·고운체 등으로 나뉜다.

① 어레미 : 이것은 지역에 따라 얼레미(경기도 반월, 강원도 강릉시)·얼맹이(전라남도 영광)·얼개미(강원도 도계)·얼금이(경상도)·얼기미(전라남도·충청도)·얼금체로 불린다. 쳇불 구멍이 제일 넓은 체로, 이것으로는 떡고물이나 메밀가루 등을 내린다. 쳇불은 철사나 가는 대오리로 메운다.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의 것은 가로 3㎜, 세로 3.8㎜이다. 호남지방에서는 쳇바퀴의 울이 깊지 않게 대를 서너 겹으로 둥글게 만들고 든든한 나무 껍질이나 칡으로 쳇불을 메워서 곡식의 검불 등을 가리는 데에 쓰기도 한다.

② 도드미 : 쳇불 구멍이 어레미보다 좁은 체이다. 좁쌀이나 쌀의 뉘를 고를 때 쓴다. 쳇불은 철사로 엮는 것이 보통이며 쳇불 구멍의 크기는 가로 1.8㎜, 세로 2㎜(충청북도 봉양)이다.

③ 중거리 : 이것은 지역에 따라 중체(경기도 반월)·중거리(충청도, 강원도 도계)·반체(전라남도 보성)라고도 한다. 중거리로는 떡가루를 치며, 시루편을 만들 때에는 떡가루를 물에 섞어 비비며 내린다. 쳇불은 천으로 메우기도 한다. 쳇불의 구멍은 가로 1㎜, 세로 1㎜이다(충청북도 봉양).

④ 가루체 : 지역에 따라 신체(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설된체(경기도 덕적)·모시미리(강원도 도계)·참체(전라남도)·접체(전라남도 보성)·밴체(전라남도 보성)라고도 한다. 본디 쳇불은 말총을 썼으나 근래에는 나일론천으로도 메운다. 이것으로는 송편가루 등을 내린다. 쳇불 구멍은 가로 0.6㎜, 세로 0.6㎜(충청북도 봉양)이다.

⑤ 고운체 : 이것은 지역에 따라 풀체(경기도 반월)·접체(경기도 덕적)·술체(전라남도 거문도)·곰방체(전라남도 보성)라고도 불린다. 올이 가늘고 구멍이 잔 체로 쳇불은 말총이다. 이것으로는 술을 거르며, 쳇불 구멍의 크기는 세로가 0.5㎜이며, 가로는 이보다 더 좁다. 근래에는 쳇불을 나일론천으로 메우기도 한다. 수명은 5년이며 무게는 500g 내외이다.

체를 쓸 때에는 쳇다리를 쓴다. 쳇다리의 형태는 일정하지 않으나 Y자 모양으로 뿔이 세개 달린 나무나 나무를 솥뚜껑처럼 둥글고 우묵하게 파고 한 가운데에 구멍을 낸 것을 흔히 쓴다. 쳇다리는 동이나 함지와 같은 그릇 위에 걸쳐 놓고 쓴다. 앞의 것은 가루를 내는 데에, 뒤의 것은 술과 같은 액체를 거를 때에 쓴다.

민간에서는 체를 악귀를 물리치는 데에 이용하기도 한다. 설날 밤에 야광귀(夜光鬼)라는 귀신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어떤 집에 들어가서 그 집 사람의 신을 신어보고 맞으면 그대로 신고 간다. 신을 잃어 버린 사람은 일년 동안 운수가 나쁘다고 전한다. 그런데 이때에 대문 앞에 체를 걸어두면 야광귀가 밤새 체의 구멍을 세어보다가 신을 미처 신어보지도 못하고 그냥 하늘로 되올라간다는 것이다.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성이 다른 세 집의 음식을 체에 받아다가 자기집 절구통이나 디딜방아에 앉아서 개에게 한 숟가락 주고 자신도 한 숟가락 먹는다. 이렇게 하면 그해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전한다. 이 밥을 ‘쳇밥’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