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찬 ()

고송유고
고송유고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운전가」, 『고송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백승(伯承)
고송(孤松)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4년(명종 9)
사망 연도
1624년(인조 2)
본관
수성(隋城)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운전가」, 『고송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수성(隋城). 자는 백승(伯承), 호는 고송(孤松). 아버지는 예조좌랑 최희열(崔希說)이며, 어머니는 탐진최씨(耽津崔氏)로 진사 최학령(崔鶴齡)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행의가 엄격하여 사람들이 최찬의 앞에서는 어긋난 일을 하기를 두려워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14년(광해군 6) 영창대군(永昌大君)이 살해되자 「애대군가(哀大君歌)」를 지어 애통한 심정을 표현하였다. 또한, 「운전가(耘田歌)」 2편을 지었는데, 이것은 영창대군의 죽음과 이이첨(李爾瞻) 등 간당의 발호를 김매는 일에 비유하여 한탄한 노래이다.

이 때 고향사람 김우성(金佑成)이 이이첨과 결탁하여 문생인 진명생(陳命生)에게 「운전가」에 한나라 양운(楊惲)의 「남산가(南山歌)」처럼 임금을 원망하고 비방하는 뜻이 담겨 있다고 고변하게 하여 금부에 갇혔다가 심한 옥고 끝에 풀려났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예빈시직장(禮賓寺直長)으로 임명되었으나, 교지가 도착되기 전에 옥중에서 얻은 병으로 인하여 죽었다. 시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고송유고(孤松遺稿)』 1책이 있다.

참고문헌

『고송유고(孤松遺稿)』
『송자대전(宋子大全)』
『인조실록(仁祖實錄)』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