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필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후백제와 고려의 운주성전투에서 활약한 후백제의 장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관련 사건
운주성전투
내용 요약

최필은 남북국시대 934년 운주성(지금의 홍주성)에서 후백제와 고려, 양국의 국왕이 몸소 군대를 지휘한 전투에 참전하였다. 견훤은 운주에 고려 왕건이 주둔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자, 갑사(甲士) 5천 명을 이끌고 왔다. 이 전투에서 최필은 고려군에 생포되었다.

정의
남북국시대 후백제와 고려의 운주성전투에서 활약한 후백제의 장군.
가계 및 인적 사항

최필(崔弼)은 927년 거란 사신들을 본국으로 호송하다가 주1의 등주에 주2해 죽임을 당한 장군 최견(崔堅)과 동일한 가문 출신으로 짐작된다. 이들은 고려 왕건의 책사가 된 최지몽과 더불어 영암 출신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활동

934년 정월에 견훤은 운주(지금의 충청남도 홍성)에 고려 왕건이 주둔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였다. 왕건이 운주를 점령하려는 것을 알게 된 견훤은 이에 대응하여 갑사(甲士) 5천 명을 선발하여 몸소 운주에 이르렀다. 운주의 통치 거점인 운주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월산산성으로 지목하기도 하지만 현재의 홍주성으로 지목된다. 홍주성의 하부 층위에서 신라 말의 유구가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기병을 이용한 전투가 효율적으로 펼쳐질 수 있는 곳이 운주성일 가능성이 높은데, 현재의 홍주성 입지와 부합한다.

견훤의 군대가 운주성에 도착하였을 때 왕건의 군대가 미리 와서 대기하고 있었다. 상황이 불리하다고 판단한 견훤은 “양편의 군사가 서로 싸우니 형세가 양편이 다 보전하지 못하겠소. 무지한 병졸이 살상을 많이 당할까 염려되니 마땅히 화친을 맺어 각기 국경을 보전합시다.”라고 휴전을 제의하였다.

이는 왕건 정권 출범 직후 후백제와 맹약을 맺은 그때의 삼국 분할 정립안을 염두에 둔 것이다. 당시 운주성은 후백제 영역으로 확정되었다. 그런데 고려군이 쳐들어 온 것은 국경 침범이었다. 그러니 후백제 영역 바깥으로 철수해 달라는 요구였다. 이때 견훤은 중무장을 한 정예군인 갑사를 거느리고 왔다. 그러자 왕건은 여러 장수를 모아 의논하였다. 왕건이 선뜻 결전에 나서지 못하자 유금필이 앞장섰다.

후백제군이 미쳐 진을 치지 못한 허점을 포착한 왕건의 막료 유금필이 주3 수천 명으로 돌격해 왔다. 이 싸움에서 후백제군은 무려 3천 명이나 전사하였다. 그리고 후백제군 진영의 술사(術士) 종훈(宗訓)과 의사(醫師) 훈겸(訓謙)과 용장(勇將) 상달(尙達) · 최필이 사로잡혔다. 최필은 상달과 더불어 ‘용장’이라고 하였다. 후백제군 내에서 명성이 자자하였던 장군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 고려사』 등에서 최필 등이 사로잡혔다는 기록과는 달리 『 삼국사기』에서는 왕건에게 항복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최필 등은 생포된 후 항복한 것으로 보인다. 운주성전투의 패전으로 인해 웅진 이북 30여 성이 고려에 항복하였다. ‘웅진 이북’은 고려가 옛 백제 지역에서 주도권을 장악한 전투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이도학, 『후삼국시대 전쟁 연구』(주류성, 2015)

논문

신성재, 「후삼국 통일전쟁과 운주전투」(『軍史』 11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윤용혁, 「나말여초 洪州의 등장과 運州城主 兢俊」(『한국중세사연구』 22, 한국중세사학회, 2007)
李道學, 「後百濟의 加耶故地 進出에 관한 檢討」(『白山學報』 58, 백산학회, 2001)
주석
주1

중국에서, 923년에 이극용의 아들 이존욱(李存勖)이 후량(後梁)을 멸하고 뤄양(洛陽)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936년에 후진(後晉)의 석경당(石敬瑭)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2

물결에 떠돌아다니다가 어떤 뭍에 닿음.    우리말샘

주3

강한 기병(騎兵).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