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항 선생 묘 ( )

목차
관련 정보
최항 선생 묘
최항 선생 묘
조선시대사
유적
문화재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최항의 무덤.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최항선생묘(崔恒先生墓)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76년 08월 27일 지정)
소재지
경기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 산11-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최항의 무덤.
개설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에 위치한다. 1976년 8월 27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최항(崔恒, 1409~1474)의 본관은 삭녕(朔寧)이며, 호는 태허정(太虛亭)이다. 1434년(세종 16) 문과에 급제하여 18년 동안 집현전에서 일하면서 수많은 문화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고, 훈민정음 창제 때에는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직접 왕명을 받아 주관하였다. 세조에서 성종 대까지 여러 서적의 편찬을 주도했는데, 특히『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의 총책임자를 맡기도 했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 때에는 공을 세워 1등 공신에 녹훈되었고, 이후 영의정까지 올랐다.

봉분은 비교적 얕게 형성된 사성(莎城)을 돌렸고, 봉분 전면에는 화강암으로 반원형의 돌을 세워 봉분의 끝을 맺었다. 봉분 좌우측에는 묘표(墓表)가 있는데, 우측의 것은 예전의 묘표이고, 좌측의 것은 새로 만든 것이다. 전면에는 혼유석(魂遊石)·상석(床石)·향로석(香爐石)이 있고, 그 앞에 방형의 장명등(長明燈)이 배치되었다. 좌우로 문인석이 위치한다.

좌측 문인석의 석단 아래에 묘비(墓碑) 두 개가 나란히 옆을 향해 놓여 있다. 봉분 쪽으로 놓여 있는 오른쪽의 묘비는 묘역 설립 당시에 건립한 것으로, 그의 처남인 대제학 서거정(徐居正)이 글을 지었다. 상석과 왼쪽의 묘비는 오석(烏石)으로 제작한 것으로, 그의 17대손이 설치한 것이다. 신도비는 건너편 금란산 밑에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경기문화재대관』(경기도, 1990)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진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