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대 황제시대에 만들어졌다고 전하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들여와 궁중 제례악과 전정헌가(殿庭軒架)에 사용되었다. 당상(堂上)에 있을 때는 그것을 강(椌)이라 하고, 축을 치는 망치자루를 지(止)라 한다.
위넓이가 약 50㎝, 아래넓이 40㎝, 깊이 40㎝ 정도의 소나무로 짠 속 빈 궤짝 모양인데, 윗면 중앙에 둥근 구멍이 뚫려 있고, 길이 약 60㎝의 나무로 된 축퇴(柷槌)를 세워 꽂고 그 밑바닥을 내리쳐서 소리를 내므로 ‘딱 딱딱’ 하는 나무 소리가 난다.
망치(椎柄)는 『악학궤범』 시대에는 방망이 밑에 작대기를 대어 ⟂모양으로 되어 있었으나, 지금 쓰이는 것은 밑에 대는 작대기는 없고 긴 방망이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방망이 모양은 치는 법에 관계가 있다.
즉, 『악학궤범』 시대의 치는 법은 ⟂모양의 망치로 상자 밑바닥을 한번 내리친 다음 좌우로 한 번씩 치되, 이와 같이 세 번, 모두 9성(九聲)을 내었으나, 지금은 방망이로 상자 밑바닥만 세 번 내려치기를 세 번, 모두 9성을 내는 점이 다르다. 축은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악기로서 동쪽에 놓고, 음악의 마침을 알리는 어(敔)는 서쪽에 놓는다. 현재 문묘와 종묘의 제례악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