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天文)·역수(曆數)·측후 및 각루(刻漏) 등의 일을 담당하였다. 사천대에는 춘관정 외에 하관정(夏官正)·추관정(秋官正)·동관정(冬官正) 등의 관직이 있었는데, 1047년(문종 1) 3월에 있었던 일식(日蝕)을 춘관정이 예측하지 못하여 어사대에 의하여 논죄되었던 사실로 보아 1월에서 3월까지의 업무를 주관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1101년(숙종 6)남경(南京)터 물색 때 추관정과 함께 동원된 점으로 보아 상지(相地 : 땅의 길흉을 판단함.)의 능력을 함께 갖춘 인물이 임명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국초에 태복감(太卜監)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현종 때 태복감이 사천대로 개칭되면서 그 소속으로 바뀌었고, 문종 때 종5품 관직으로 정하여졌다.
1308년(충렬왕 34) 사천감과 태사국(太史局)이 서운관(書雲觀)으로 통합되면서 없어졌다가, 1356년(공민왕 5) 사천감과 태사국이 복구되면서 사천감 소속의 종5품 관직으로 나타났다. 그 뒤 1362년의 관제개혁 때 없어졌고, 1369년 잠시 복치되었으나, 1372년 사천감과 태사국이 다시 서운관으로 개편되면서 혁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