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공곡합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홍인모가 『춘추』의 『공양전』과 『곡량전』에서 명문을 선별하여 1798년에 간행한 유교경전. 경전선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홍인모가 『춘추』의 『공양전』과 『곡량전』에서 명문을 선별하여 1798년에 간행한 유교경전. 경전선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798년(정조 22)에 아들 석주(奭周)가 간행하였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선진(先秦)시대의 글 가운데 선왕의 도와 부합하고 공자의 『춘추』를 해석한 글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좌구명(左丘明)이 지은 『좌전(左傳)』, 공양고(公羊高)가 지은 『공양전』, 곡량적(穀梁赤)이 지은 『곡량전』 등 세 가지가 꼽힌다.

조선시대에는 그 가운데 『좌전』만이 널리 읽히고 『공양전』과 『곡량전』은 잘 읽히지 않았다. 저자는 이에 학문하는 이가 싫증내지 않고 『공양전』과 『곡량전』을 읽게 하기 위해서, 두 책을 선정, 발췌해 엮었다.

그런데 이 두 책은 『춘추』가 지어진 지 오래 지나서야 나왔고, 그나마 구전되다가 한대(漢代)에야 비로소 글로 씌어졌기 때문에 『춘추』와 부합되지 않는 부분도 있고, 또한 한대에 전(傳)을 잃어버렸거나 한나라의 유학자에 의해 번삭된 부분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부분이 어딘지 알기 어려우므로 홍인모는 다만 문장이 좋은 것만을 골랐다고 한다.

이 때 문장을 자르면 읽는 이가 재미가 없고 문장이 번거롭고 중복되면 싫증내기 쉬우므로, 중복된 부분만 깎아내고 정수만을 골라 이것만으로도 전체를 알 수 있게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책머리에 홍석주가 간행하면서 붙인 서문이 있고, 상권에 『공양전』의 노(魯)나라 은공(隱公) 1년의 기사부터 애공(哀公) 14년까지의 기사 가운데 발췌한 것, 하권에 『곡량전』의 노나라 은공 1년에서부터 애공 13년까지의 기사 가운데 발췌한 것을 수록하였다.

서술 방식은 『춘추』의 경(經)을 앞에 싣고 그 아래 전(傳)을 실었는데, 일단 선정된 문장은 자르거나 부연하지 않고 전문을 그대로 실었다. 노나라 은공 1년의 기사와 같이 특수한 것 외는 『공양전』과 『곡량전』의 기사가 중복되지 않도록 선정해 실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