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갑산 도립공원 ( )

자연지리
지명
충청남도 청양군에 있는 도립공원.
이칭
이칭
칠악산
지명/시설
건립 시기
1973년 3월 6일
면적
32.542㎢
높이
559.8m
소재지
충청남도 청양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칠갑산 도립공원은 충청남도 청양군에 있는 도립공원이다. 칠갑산 도립공원은 1973년 3월 충청남도 청양군에 위치하는 칠갑산과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된 도립공원이다. 공원의 면적은 32.542㎢로 청양군의 대치면, 정산면, 적곡면 등 3개면에 걸쳐 있다. 칠갑산의 북쪽 계곡에는 칠갑 저수지가 위치하며 칠갑산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칠갑 저수지 출렁 다리는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지천의 계곡에 칠갑산 오토캠핑장이 조성되어있다. 장곡사 벚꽃길은 한국의 아름다운길 100선에 선정된 봄철 벚꽃 놀이의 명소이다.

정의
충청남도 청양군에 있는 도립공원.
개설

공원의 면적은 32.542㎢로 청양군의 대치면, 정산면, 적곡면 등 3개면에 걸쳐 있다. 1973년 3월 6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칠갑산은 해발 559.8m로 높은 산은 아니지만 근방에서는 가장 크고 높은 산이다. 산세와 경관은 일품이며 계절에 따라 뚜렷하게 달라지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은 소위 ‘충남 알프스’의 주봉으로 봄이면 벚꽃과 진달래가 고운 아름다운 산이다.

명칭 유래

칠갑산은 산정을 중심으로 산줄기가 일곱 군데로 뻗어 있고 또한 금강의 지류 지천(之川)과 잉화천(仍火川)을 보고 일곱 군데의 명당 자리가 있다고 하여 칠갑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본래의 명칭은 칠악산(七岳山)으로 알려졌다.

자연환경

칠갑산은 대부분 지역이 선캠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계 암석으로 된 산지이다. 지형은 정상에서부터 산 능선이 방사상으로 뻗어나가 사면이 급하고 계곡은 깊은 편이며, 비교적 두꺼운 토양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곡의 크기에 비하여 유량이 부족한 편이다. 식생은 굴참나무 군집, 굴참나무-쪽동백나무 군집, 굴참나무-떡갈나무 군집, 굴참나무-신갈나무 군집, 상수리나무-굴참나무 군집, 느티나무-때죽나무 군집, 서어나무 군집, 소나무 군집, 일본잎갈나무 군집 등이 분포하고 있다.

현황

신라 때의 고찰 청양 장곡사에는 1963년 각각 보물로 지정된 상 대웅전과 하 대웅전이 있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청양 장곡사 철조 약사여래 좌상 및 석조 대좌는 아름다움이 높이 평가된다. 칠갑산의 북쪽 계곡에는 칠갑 저수지가 위치하며 칠갑산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칠갑 저수지 출렁 다리는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남쪽에는 지천의 계곡에 칠갑산 오토캠핑장이 조성되어 있다. 오토캠핑장의 경관은 감입 곡류하는 지천의 주1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서 유명하다. 장곡사 벚꽃길은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된 봄철 벚꽃 놀이의 명소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홍운, 『한국관광지리(韓國觀光地理)』(형설출판사, 1997)
『환경백서(環境白書)』(환경부, 2008)

논문

고재기·임양재, 「칠갑산(七甲山)의 식생(植生)」(『한국생태학회지(韓國生態學會誌) 10(1), 1987)
조삼래·김현태, 「칠갑산(七甲山) 일대(一帶)의 춘계(春季) 조류상(鳥類相)」(『환경연구』 1집, 공주대학교, 1993)

인터넷 자료

산림청(http://www.san.go.kr/mountain/view.action?mi=10088&bs=mountain&si=20000629)
청양군청(http://tour.cheongyang.go.kr/best/best_01.html)
한국의 산하(http://www.koreasanha.net/san/chilgab.htm)
주석
주1

하천의 침식 작용으로 생긴 언덕.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