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악산 국립공원 ( )

자연지리
지명
충청북도 단양군 · 제천시 · 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지명/시설
건립 시기
1984년 12월 31일
면적
287.57㎢
높이
1,095.3m
소재지
충청북도, 경상북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월악산 국립공원은 충청북도 단양군 · 제천시 · 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이다. 1984년 12월 31일에 우리나라의 17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에는 국제자연보호연맹(ICUN)의 공원 등급이 4등급에서 2등급으로 상향되었다. 월악산은 동경 128°02′~128°21′, 북위 36°47′~36°58′에 위치하며 면적은 288㎢이다. 월악산 일대에는 관속 식물 1,278 분류가 2020년까지 조사되었으며, 2020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포유류 24종을 포함하여 2,430종의 동물이 확인되었다.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 제천시 · 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개설

월악산은 동경 128°02′~128°21′, 북위 36°47′~36°58′에 위치하며 면적은 288㎢이다. 1984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월악산 국립공원(月岳山 國立公園)은 2007년에 국제 자연 보호 연맹(ICUN)의 공원 등급이 4등급에서 2등급으로 상향되었다.

명칭 유래

월악산(月岳山)의 월(月)은 신라시대에 ‘산’을 ‘달(達)’이라 한 것에서 기원한다. 월형산(月兄山)이라 하여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자연환경

월악산의 능선은 크게 2개로 나뉜다. 북서쪽 능선은 충주호(청풍호)에 닿아 있는데 가장 북측의 관봉(629m)에서 시작하여 갈미봉 · 월악산 · 만수봉 · 포암산(961m) · 부봉(935m)에 이르는 능선이다. 주맥이라 할 수 있는 남쪽 능선은 경상북도와 경계를 이루는 곳까지 이른다. 서쪽 만수봉(985m)에서 메밀봉(840m) · 꾀꼬리봉(890m) · 동쪽 대미산(1,115m) · 황장산(1,077m)까지 이르다가 대미산에서 북쪽으로 문수봉(1,161m) · 매두막(1,099m) · 하설산(1,027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월악산에서 발원하는 달천은 송계계곡을 통하여 충주호(청풍호)로 유입되고, 송계계곡 동쪽의 광천이 용하계곡을 이루고, 광천은 동달천과 북평리에서 합류하여 남한강의 지류로서 충주호로 유입하고 있다. 단양천은 월악산의 사면에서 발원하여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으로 이어지는 선암계곡을 통하여 한강으로 유입한다.

형성 및 변천

월악산은 고생대 조선계인 대석회암통과 연대 미상인 서창리층 사이로 중생대 백악기의 불국사 조산 운동 과정에서 화강암이 관입하여 형성되었다. 이 화강암은 이후 풍화 작용을 받아 일부 암체만 남기고, 풍화된 부분들은 침식되어 현재의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노출된 암체들은 산봉을 형성하고 있다. 월악산은 경상도충청도 지역을 가르는 소백산맥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현황

월악산 국립공원은 1984년 12월 31일에 우리나라에서 17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이다. 관리 조직은 월악산 국립공원 사무소를 비롯하여 경상북도 문경시의 문경분소, 제천시의 덕산분소, 단양군의 단양분소 및 탐방 안내소가 있다. 탐방 지원 센터로는 2023년 6월 기준으로, 만수 탐방 지원 센터, 사문리 탐방 지원 센터, 덕주 탐방 지원 센터가 있다.

월악산 일대에는 관속 식물 1,278분류가 2020년까지 조사되었다. 2020년 조사에서는 포유류 24종을 포함하여 2,430종의 동물이 확인되었다. 그 가운데 멸종 위기 야생 동물 Ⅰ급인 산양, 수달, 상제나비가 서식중이며, Ⅱ급인 , 담비, 하늘다람쥐, 까막딱따구리, 새매, 은줄팔랑나비, 왕은점표범나비, 참호발뒤영벌, 구렁이, 가는돌고기가 서식하고 있다. 환경부 깃대종은 솔나리(Lilium cernuum)와 산양(Nemorhaedus caudatus)이다. 솔나리 자생지 대부분이 탐방로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탐방객에 의한 훼손과 토양 답압으로 인한 훼손이 우려되어 보호 대책이 요구된다. 또한 2022년 기준으로 105마리의 산양이 서식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악산의 역사적 기록은 하늘재(계립령)와 함께 하며 『삼국사기』에 “ 아사달 이사금 3년(156)에 계립령 길을 열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일대는 신라고구려, 후고구려와 후백제, 고려가 서로 각축한 전략상 요충지였다. 신라 때 마의태자가 망국의 한을 품고 금강산으로 갈 때, 1254년에 몽고군이 충주산성과 상주산성을 공격해 왔을 때, 공민왕이 1362년 홍건적의 난을 피해 봉화군 청량산으로 갈 때 모두 월악산에 있는 하늘재(계립령)를 지난것으로 알려져있다. 1414년(태종 14년) 하늘재 아래 조령(문경새재)이 조성되었다. 중심 통행로가 점차 조령으로 옮겨지게 되면서, 하늘재의 활용은 점차 줄어들었다. 현재 하늘재를 통과하는 길은 등반로로 활용된다.

월악산의 유명한 계곡으로는 동달천이 통과하는 덕주계곡의 팔랑소, 망폭대, 와룡대 등이 있다. 이들은 산지에 만들어진 폭포와 그 하부에 만들어진 소들로 이뤄져 있다. 월악산에 있는 덕주산성은 예로부터 이웃한 조령관문과 더불어 중요한 역할을 하던 관문 성의 하나였다. 이 산성은 고려 고종몽고의 침입을 막고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덕주산성 동문에서 덕주사까지는 약 0.7㎞의 거리이고 주위의 암봉과 암벽들이 아름답게 펼쳐져 있으며, 덕주계곡은 절경이다. 옛 덕주사 터에는 1964년에 보물로 지정된 덕주사 마애여래 입상이 있는데, 높이는 14m이다. 월악산 정상에 오르면 남쪽으로 주흘산, 북쪽으로는 충주호가 보인다.

월악산은 충주호(청풍호)와 연계한 관광 개발이 논의되고 있으며, 공원 자체의 자연 환경을 보전하고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 ·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종욱, 『지형학의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김홍운, 『개정증보판(改訂增補版) 한국관광지리(韓國觀光地理)』 (형설출판사, 1997)
지광훈 장동호 박지훈 이성순, 『위성에서 본 한국의 산지지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
『한국지리지 총론』 (국토지리정보원, 2005)
『한국의 산지(山誌)』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국지리지 충청북도』 (국토지리정보원 충청북도, 2018)
『2020 월악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20)

인터넷 자료

국토지리정보원(http://www.nig.go.kr)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