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손 거문고 ( 거문고)

목차
관련 정보
김일손 거문고
김일손 거문고
국악
유물
문화재
조선 전기의 학자 · 문신 김일손(金馹孫)이 타던 거문고.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 문신 김일손(金馹孫)이 타던 거문고.
개설

이 거문고는 1988년 지정된 보물로 옛 선비들의 애완품으로 사용된 악기로서는 유일하게 국가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 거문고는 높이 10㎝, 길이 160㎝, 너비 19㎝이며 1490년(성종 21)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문고 중앙 부분에 ‘濯纓琴(탁영금)’이라는 문자가 음각되어 있고 학(鶴)의 그림이 거문고 하단부에 그려져 있다. 거문고의 용두(龍頭)·운족(雲足) 등은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봉미(鳳尾)·괘 등 부품 일부를 개수한 흔적이 보이는데, 거문고 뒷면의 판자(判字)는 필자를 알 수 없으며, 김일손의 친필과 약간 유사하지만, 꼭 친필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 탁영금이 있었다는 기록은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중 동금류변증설(東琴類辨證說)에서 ‘濯纓子 金馹孫書文絃琴背曰 王山岳得七絃琴…’의 글이 보이고 있다.

또한, 『탁영금보』에 의하면 계축(癸丑) 겨울에 신개지(申漑之)·강사호(姜士浩)·김자헌(金子獻)·이과지(李顆枝)·이사성(李師聖) 등과 함께 글공부를 하면서 여가에 거문고를 배우고, 옥당에 있을 때는 권향지(權嚮之)와도 내왕하면서 배웠다고 하는바, 이들은 모두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배운 사람들이다.

또한, 동화문(東華門) 밖 어느집 대문의 나무가 좋게 보여서 주인에게 물으니 약 100년은 된 문이라 하기에, 그 대문 판자를 얻어 거문고를 만들고 이름을 ‘문비금(門扉琴)’이라 하였고, 이거사(李居士)에게 부탁하여 학의 그림을 그렸는데, 그 소리가 청월(淸越)하였다고 육현명(六絃銘)에 기록하였다고 한다. 대구의 김헌수(金獻洙)가 소장하고 있던 것을 지금은 국립대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탁영금은 음악사적으로도 매우 귀중한 악기이지만, 역사에 구체적인 흔적을 뚜렷이 남긴 젊은 선비의 기개가 담긴 정신적 문화유산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참고문헌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김해김씨삼현세가행적(金海金氏三賢世家行蹟)』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88)
천왕문희 헤라클레스 -문화와 문화유산 이야기-(blog.naver.com/dcsuhk)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