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 석장승 ( 장승)

목차
관련 정보
태백산 석장승
태백산 석장승
민간신앙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있는 조선전기 송강 정철이 제작한 것으로 전하는 장승. 석장승.
이칭
이칭
돌장승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태백산석장승(太白山石長丞)
분류
유물/기타종교조각/민간신앙조각/석조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95년 03월 09일 지정)
소재지
강원 태백시 소도동 19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있는 조선전기 송강 정철이 제작한 것으로 전하는 장승. 석장승.
내용

2기. 1995년 강원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석장승은 현재위치에서 북쪽 1.2㎞ 지점 용담위 미륵둔지에 약 10m 간격으로 마주 서 있었으나, 지금부터 40여 년 전 박묵암 승려가 치성하는 사람들이 쌓아올린 돌무더기 속에 묻혀 있던 것을 태백산 망경사로 옮겼고, 1987년 태백문화원 주관으로 현 위치인 소도당골로 이전하였다.

석장승은 화강암 재질로 만들어 태백산 입구의 길 양쪽에 세웠는데, 왼쪽 장승은 높이 155㎝, 둘레 135㎝, 오른쪽 장승은 높이 170㎝, 둘레 130㎝이다. 자연석 받침돌 위에 올려놓은 좌측 석장승 하단에 천장(天將), 우측에 지장(地將)이라고 새겨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임을 표시하였다. 이 석장승의 제작시기는 정확히 고증하기 어려우나 태백산 천제단과 태백산신의 수호신상으로 추측된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조선 선조 13년(1580) 강원도 관찰사로 와있던 송강(松江) 정철(鄭澈)이 태백산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이것을 제작했다고도 한다. 현재 석장승은 마모가 심한데 우측 석상은 코가 마모된 것으로 보아 민간신앙의 대상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래에도 태백산을 찾는 무속인들이 석장승 앞에서 굿을 하고 있으며, 3년마다 주민들이 솟대를 만들어 양쪽에 세우고 있다.

태백산석장승이 서있던 곳은 옛 부터 미륵둔지라는 지명으로 불리고 있으며, 주민들은 이 석상을 돌장승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강원도내에는 목장승이 많으나, 석장승은 희귀하므로 보존가치가 높다. 석장승 머리에는 관을 쓰고 홀을 들고 있는 문인석 모습으로 경상남도 사천군 축동면 가산리 장승이나 광주광역시 와주성선 석장승과 유사하게 형상화되어 있다.

참고문헌

『조선땅마을지킴이』(장정룡 외, 열화당, 1993)
『태백(太白)의 지명유래(地名由來)』(금강산, 태백문화원, 1989)
『강원지방 장승·솟대신앙』(국립민속박물관, 1988)
『장승』(이종철 외, 열화당, 1988)
『태백문화지(太白文化誌)』(태백문화원, 198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