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휘찬 ()

목차
근대사
문헌
1894년부터 1913년까지 일본 외무성 통상국이 세계 각 지역 일본영사관에서 보고 받은 통상 관련 사항을 편집해 간행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94년부터 1913년까지 일본 외무성 통상국이 세계 각 지역 일본영사관에서 보고 받은 통상 관련 사항을 편집해 간행한 역사서.
개설

「주한일본영사관보고(駐韓日本領事館報告)」도 이 책에 포함되었다. 이 책에는 189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 관계 연구에 중요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내용

영사 보고는 교역국의 개항장과 개시지(開市地)에 주재하는 재외영사가 그 지역의 상업 상황과 통상경제 관계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본국 정부에 송부하는 보고였다. 재외영사들은 외교관의 특권을 배경으로 해외시장 조사와 상황을 정보 수집했던 것이다.

일본은 외무성 기록국의 편찬으로 1882년에 이 책을 한 차례 간행한 이래 1889년까지 매년 2-4회 발간하였다. 이어 1890년부터는 『관보(官報)』에 통상보고란을 설정해 영사 보고를 게재하다가 1894년 2월부터 이 책을 발간했던 것이다. 이것은 1913년 4월 『통상공보(通商公報)』로 바뀌어 1924년 12월까지 발간되었다.

이 책은 1893년 11·12월에 외무성 통상국 제 1과(課)의 편찬으로 간행되었다. 그러나 1894년 2월부터 외무성 통상국의 편찬으로 바뀌며 제 1호로 월 1회 간행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95년 5월부터는 월 2회, 1897년 6월 이후 월 3회로 증간되면서 유료 배포화하였다. 1903년에는 월 6회 정기 간행과 연 6회의 임시 증간이 발행되었다.

이 책은 처음에는 상업·농업·화폐·잡부(雜部)로 구분되어 보고가 수록되다가 공업·관세·교통 등이 증설되었다. 그 뒤 1898년의 색인과 1899년의 목록에는 32개의 항목으로, 그리고 1907년에는 40개의 항목으로 증가되고 있었다.

종종 부속(附屬) 또는 부록의 항목에 보고가 수록되었는데, 대체로 시찰보고나 상황연보(商況年報) 등을 특집으로 묶어 발행한 것이었다. 초기에는 한국 관계 영사 보고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비록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적 의도가 드러나지만 189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 현황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개화기(開化期)의 일본측(日本側) 경제관계자료(經濟關係資料)」(강만길, 『한국문헌학(韓國文獻學) 연구(硏究)의 현황(現況)과 전망(展望)』, 아세아문화사, 1983)
『領事報告の硏究』(角山榮 編, 同文館, 1986)
『領事館報告資料 收錄目錄』(雄松堂, 1983)
「通商彙纂-駐韓日本領事館報告」(金敬泰, 『通商彙纂 影印本 解題』, 驪江出版社, 1987)
「領事館制度と領事館報告について」(高嶋雅明, 『經濟理論』 168, 1979)
집필자
최기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