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하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1품 관직.
목차
정의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1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고려 전기의 중서령(中書令)에서 연원하는 최고관직이다. 중서령이 도첨의령(都僉議令)·판도첨의사사사(判都僉議使司事)·영도첨의(領都僉議) 등을 거쳐 1368년(공민왕 17) 문하부의 성립과 함께 그 장관으로서 영문하(領門下)가 되었다가 우왕 때 다시 개칭된 것이다. 정식 명칭은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이다.

그러나 중서령의 경우처럼 실직(實職)이 아니라 증직(贈職) 또는 치사직(致仕職)으로 운영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조선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관제를 새로이 제정할 때 문하부에 영문하가 두어짐으로써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집필자
변태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