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두량도감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곡물거래시에 평두량제를 실시하도록 지휘, 감독하던 특수 관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곡물거래시에 평두량제를 실시하도록 지휘, 감독하던 특수 관청.
내용

1173년(명종 3) 무신집정자 이의방(李義方)의 주청에 의하여 설치된 관청으로 곡물을 거래할 때 고봉(高捧 : 되질이나 말질할 때 전 위로 수북하게 쌓음.)으로 하던 것을 평두량(평말)으로 재게 하였다.

따라서 그 기능에 있어 구검(句檢)과 시전(市廛)을 관장하던 경시서(京市署)와 관련이 깊다. 무신집권 초기에 이의방의 주청에 의하여 이러한 조처를 취하게 된 것으로 당시 이의방의 권력의 정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어기는 자는 얼굴에 묵형(墨刑)을 가하여 멀리 유배시켰다는 사실은 그 실천을 위하여 얼마나 강경한 대응책을 강구하였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1년 뒤 1174년 12월이의방이 정중부(鄭仲夫)의 아들 균(筠)의 사주를 받은 승려 종참(宗旵)에 의하여 살해됨으로써 이 기구 역시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특수관부연구(高麗特殊官府硏究)」(문형만, 『부산사학(釜山史學)』9,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