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종합방직공장 ()

목차
산업
단체
북한의 평양특별시 선교구역에 있는 종합방직공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평양특별시 선교구역에 있는 종합방직공장.
내용

종업원 1만 2,000명을 보유한 1급 기업체이다. 대동강 남쪽 강변에 위치하며, 간선도로와 경의선이 연결되고 대동강역에서 지선이 연결되고 있어 입지조건이 좋은 편이다.

1949년에 방추 6만추, 직기 2,000대 보유를 목표로 건면적이 7만 6,000㎡에 달하는 대규모 공장 건설이 착수되었다. 1950년 6월 현재 방추 3만추, 직기 1,000대를 갖춘 제1분공장이 완공되었다. 그러나 곧 이은 한국전쟁으로 공장 대부분이 파손되었으나, 전후복구의 최우선 과제로 채택되어 1954년초에는 전쟁 전 수준으로 복구되었다.

1955년 5월 소련의 원조로 염색공장이 착공되었고, 1961년에 시설 확장을 추진하여 1년 뒤 방추 4만 2,000추가 증설되었다. 1964년에는 편직공장이 분리되어 선교편직공장으로 독립되었다. 현재 이 공장은 부지 67만㎡, 건물 넓이 15만㎡의 대규모 공장으로서, 시설방추가 20만추이고, 연간 1억1000만m의 직물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시설은 연간 염색시설 1억 3,000만m의 처리능력을 갖추고 3,000㎾(1,500㎾용량 2기)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시설, 방직실험실 · 직포실험실 · 염색실험실 등이 있다. 그 밖에 평양공업대학 · 공장학교 등이 부설되어 7,000여명의 학생이 있는 산학협동의 시범기업체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