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원 ()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헌, 공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공수(公授)
유파(柳坡)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17년(순조 17)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청주(淸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헌, 공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수(公授), 호는 유파(柳坡). 한광적(韓光迪)의 증손으로, 한치영(韓致永)의 손자이며, 한진우(韓鎭寓)의 아들이다. 한진서(韓鎭序)에게 입양되었다. 이인회(李寅會)의 외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1년(헌종 7) 제술시(製述試) 표(表) 부문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전시(殿試)에 바로 나아갔으며, 184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846년 강제문신(講製文臣)으로 발탁된 이후 주로 홍문관 관원으로 일하였다.

1858년(철종 9) 청북암행어사(淸北暗行御史) 이건필(李健弼)이 이전에 한경원의 의주부윤 때의 문제를 조정에 보고하여 죄를 받았다. 1870년(고종 7) 진하예방승지(陳賀禮房承旨)·성균관대사성·규장각직제학을 두루 거쳤고, 1873년 진하 겸 사은사행(陳賀兼謝恩使行)에 정사 이건필과 함께 부사로서 중국에 다녀왔다.

1874년 대사헌, 1875년 이조참판, 1877년에 다시 대사헌·이조참판을 역임하였고, 1879년 사은 겸동지사행에 정사로서 수행하였으며 그뒤 공조판서를 거쳐 1881년 한성부판윤·대사헌을 지냈다. 또한 이만손(李晩孫)의 상소내용을 문제삼아 이만손을 귀양보내는 데 앞장섰는데, 경기도 유생 신섭(申㰔) 등이 이를 비난하는 상소를 올려 곤란에 빠지기도 하였다.

1887년에는 갑신정변의 주모자인 김옥균(金玉均)·박영효(朴泳孝)·서재필(徐載弼)·서광범(徐光範)에게 아직 체포령이 내려져 있었으므로, 그들과 내통한 지석영(池錫永)·지운영(池運永)을 국문(鞠問)하도록 사헌부·사간원의 관원과 함께 상소를 올렸다.

참고문헌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청선고(淸選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