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사 ()

목차
경제
문헌
1970년 최호진의 우리나라 경제사에 관한 학술서. 경제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70년 최호진의 우리나라 경제사에 관한 학술서. 경제서.
내용

A5판. 372쪽. 1970년 박영사(博英社)에서 간행하였다. 저자가 이미 저술한 『한국경제사개론』과 『한국경제사』에서 명확한 전개를 보지 못한 부분과 일제강점하의 우리나라 경제의 역사적 고찰에 역점을 두어 이미 간행된 두 권의 책을 대폭 수정 증보한 것이다.

특히, 일제강점하의 경제분석에 있어 많은 통계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의 경제발전단계를 각각의 특징에 따라 6단계의 시대로 구분하여 놓음으로써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우리나라의 근대화 과정에 관한 문제로서 지금까지의 국내 학자들은 과거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의 후진성·정체성의 요인규명에 몰두하면서, 우리 사회에서는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자양적(自釀的)으로 근대화할 수 있는 여러 요인이 결여되고, 따라서 외래 자본주의의 지배에 의하여 비로소 근대화의 과정을 밟은 것이 아닌가라는 일반의 오해를 받은 일도 자주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한편, 이 문제에 대해 사료적 연구를 계속한 결과 우리 사회에도 조선 후기에 들어오면서부터는 자체 내에 농민적 지주의 성장, 수공업의 경영형태 변형, 분업, 공장제 수공업, 교환경제(貨幣化-商品化)의 성장과 발전으로 보아, 근대적 여러 요인이 각 부문에서 싹트고 있었음을 찾아볼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근대화 요인의 체계화를 시도하는 데 노력하였음이 돋보인다. 총 6편 3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 ‘원시사회∼삼국정립 이전 사회’에서는 원시공동체의 사회경제 상태와 원시사회의 붕괴과정을 추적하였다.

제2편 ‘동양적 고대사회∼삼국정립시대(기원전 57∼서기 668)’에서는 삼국정립과 고대사회의 성격, 고대사회의 토지제도와 조세제도, 고대사회의 수공업과 교환경제를 각각 다루었다.

제3편 ‘동양적 봉건 사회의 성립∼통일신라시대(669∼918)’에서는 삼국통일과 중앙집권적 봉건체제의 성립, 토지제도, 봉건적 수탈의 제형태, 수공업과 교환경제, 통일신라의 몰락 등을 고찰했다.

제4편 ‘동양적 봉건사회의 발전∼고려시대(918∼1391)’에서는 고려의 성립과 중앙집권적 봉건체제의 발전, 고려의 전제개혁(田制改革), 봉건적 수탈의 여러 형태, 고려시대의 수공업 조직, 교환경제 및 농민봉기를 서술하였다.

특히, 농민봉기에서는 농민봉기의 사회적 조건과 무인정권시대의 농민봉기로 조위총(趙位寵)의 난과 서북지방의 농민봉기, 망이(亡伊)의 난, 명종 말기의 농민봉기, 신종 연간의 농민봉기 등을 심도있게 논거하였다.

제5편 ‘동양적 봉건사회의 완성∼이조시대(1392∼1910)’에서는 조선의 전제개혁, 조선 후기의 토지지배관계, 봉건적 수탈의 여러 형태, 조선의 수공업, 농민봉기 등을 고찰하고 있다.

특히, 농민봉기로 갑오동학란을 연구하면서 농민봉기의 원인 및 경과와 그 역사적 의의에서는 농민군의 북상운동(北上運動) 이전의 전황, 북상운동과 분열, 그리고 갑오농민봉기의 역사적 의의를 모색하였다.

제6편 ‘동양적 봉건사회의 붕괴∼일본 식민지화과정(1910∼1945)’에서는 외국 세력의 침입과 봉건사회의 몰락, 식민지경제관계의 기초 공작과정(1906∼1918), 식민지경제관계의 발전(1919∼1931), 반일본제국주의 운동, 식민지경제관계의 강화(1932∼1945) 및 무역, 재정 및 금융의 발달 등을 체계적이며 심도 있게 논술하였다.

그러나 저자는 우리나라 경제의 발전과정을 6단계로 시대구분하여 서술함으로써 한국경제사학의 시대구분 논쟁을 일단락하였다고 볼 수 있지만, 그 구분을 왕조의 흥망성쇠로 구분함으로써 경제사적 의미의 시대구분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정치사적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1876년의 개항기를 경제사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느냐 하는 문제와 우리나라 경제사를 너무나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한 점, 실학 등 우리의 고유한 경제사상을 다루지 않은 점이 아쉽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