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구 한국해양연구소 전경
구 한국해양연구소 전경
과학기술
단체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
이칭
이칭
KIOST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
개설

우리나라 해양개발에 관한 국가정책 수립 및 구현과 산업계 기술지원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는 해양수산부 산하의 연구기관이다.

연원 및 변천

국가 해양과학기술의 발전을 선도하고 바다에서 민족 번영의 활로를 개척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10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설 해양개발연구소로 설립되었으며, 1976년 KIST 부설 선박연구소와 통합되어 상공부 산하 한국선박해양연구소로 개편되었으나, 1978년 다시 KIST 부설 해양개발연구소로 환원되었다. 1986년 경기도 안산시에 독립건물을 지어 이전했으며, 1990년 6월 한국해양연구소로 독립·발족하였다. 1992년 이어도호(546톤)와 온누리호(1,422톤)를 취항했으며, 1995년 중국 청도에 한·중 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를 설치했다.

1997년 경상남도 거제에 남해연구소를 설치했으며, 1999년 대덕연구단지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를 설치했다. 2000년 한·남태평양해양연구센터를 설치했으며, 2001년 한국해양연구원으로 개칭했다. 2002년 북극 스피츠 베르겐섬 니알슨에 북극다산과학기지를 설치했으며, 2004년 부설 극지연구소를 설치했다. 2008년 경상북도 울진군에 동해연구소를 설치했으며, 교육과학기술부 기초기술연구회 소관이 되었다. 2012년 7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현재 해양수산부 산하 기관이다.

기능과 역할

연구원은 국내 유일의 종합해양과학기술 연구기관으로, 해양특성 조사연구와 해양과학기술 개발, 해양자원 개발, 해양환경 보전과 지구환경 연구, 남극환경과 자원조사 등 해양과 남극에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저력 배양을 위한 기초·응용과학기술연구, 해양자원 개발 및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연구와 해양과학기술정책에 관한 연구, 극지환경·자원조사연구 및 남·북극과학기지 운영, 연안·항만공학 및 선박해양공학과 해양안전 관련기술 개발, 국내외 연구기관, 산업체, 대학, 전문단체와의 공동연구 수행과 그 성과의 보급, 산업계 및 공공부분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또는 기술용역 수탁 및 위탁 등을 수행하고 있다.

현황

2010년 기준으로 450명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 원장, 선임연구본부장 아래 해양자료정보사업단, 종합연구선건조사업단, 해양환경·보전연구부, 기후·연안재해연구부, 심해·해저자원연구부, 해양생물자원연구부,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해양기술정책연구부, 해양바이오연구센터, 해양방위연구센터, 해양위성센터, 기기검교정·분석센터, 대덕분원, 남해분원, 동해분원, 연구전략본부, 창의경영본부, 해양과학국제협력센터, 부설 극지연구소를 갖추고 있다. 최근 연구의 초점을 해양오염방제 및 저감·복원기술개발, 기후변화 및 연안재해 대응, 청정 해양에너지 실용화 기술 개발 등에 두고 있다. 2012년 7월 새롭게 출범하면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로 이전하였다.

의의와 평가

연구원은 국가 해양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국제적 수준의 해양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다.

참고문헌

『한국해양연구원 30년사』(한국해양연구원, 20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www.kiost.ac.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