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처방은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위완수한표한병론(胃脘受寒表寒病論)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처방이다. 이 처방은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을 사용하는 경우와 반대가 되는 증후에 주로 사용되는데 태음인의 표한병(表寒病) 중 열증(熱證)에 비하여 한증(寒證)의 비율이 더욱 많을 때에 응용된다.
태음인은 평소에 나타나는 증상이 정충(怔忡: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무한(無汗)·기단(氣短)·결해(結咳: 목이 답답해 습관적으로 하는 기침)·설사 등의 증후가 주로 많이 나타나는 유형에 해당하는 소병한자(素病寒者)와 간조열증(肝燥熱證)이 있어 목동(目疼)·인건(咽乾)·불면·변비·발반(發斑) 등의 증상이 평소에 잘 나타나는 유형인 소병열자(素病熱者)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이 한다열소탕은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과 함께 전자의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열다한소탕과 청심연자탕 계열의 처방은 후자의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이 처방의 구성은 의이인(薏苡仁) 11.25g, 나복자(蘿葍子: 무씨) 7.5g, 맥문동(麥門冬)·길경(桔梗)·황금(黃芩)·행인(杏仁)·마황(麻黃) 각 3.75g, 건율(乾栗) 7개로 되어 있다. 이는 태음조위탕에서 오미자(五味子)·석창포(石菖蒲)를 빼고 황금·행인을 첨가한 처방으로 폐위(肺胃)의 사열(邪熱)을 제거하면서 간화(肝火)를 방지하는 효능을 가진 의이인을 군약(君藥)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다열소탕이 응용된 처방으로는 제조패독산(蠐螬敗毒散)과 윤폐청간탕(潤肺淸肝湯)이 있다. 제조패독산은 한다열소탕에 적응중인 환자가 설사가 심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제조를 5∼9개 추가하여 사용하는 처방이다. 윤폐청간탕은 이 처방에서 의이인과 건율을 빼고 갈근(葛根) 11.25g과 대황 7.5g을 첨가한 처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