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단오절의 단오굿에서 행해진다. 원래 한장군은 이 지역 단오굿의 중심행사인 여원무(女圓舞)에 등장하는 주인공 이름으로, 1969년 자인단오굿이 조사되고, 그해 가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여원무가 출연하여 이것이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면서 전설상의 인명이 민속연희의 명칭으로 변하게 되었다.
자인고을의 전설에 의하면, 한장군은 신라 혹은 고려 때 사람이라 하는데, 언제인가 왜적이 이곳을 침범하여 도천산(到天山) 위에 웅거하면서 백성들을 괴롭히자 그는 꾀를 써 여자로 가장한 뒤 누이와 함께 화려한 꽃관, 곧 여원화(女圓花)을 쓰고 산아래 버들못둑[柳堤]에서 광대들의 풍악에 맞추어 춤을 추었다.
그러자 왜적들은 도천산에서 내려와 여원무의 신기함과 풍악의 흥겨움에 넋을 잃고 말았다. 그 때 가운데서 춤을 추던 한장군은 여원화를 벗고 무서운 장군으로 돌변하였고 광대들도 모두 비수를 든 무사로 화하여 왜적을 무찌르기 시작하였다.
왜적은 하나하나 쓰러져 순식간에 못물은 핏빛으로 변하였는데, 지금도 못 둑에는 왜적을 벨 때 생긴 칼자국이 있는 바위가 남아 있어 마을에서는 이를 참왜석(斬倭石) 혹은 검흔석(劍痕石)이라 부른다. 그 뒤 이 고장에는 한장군을 모시는 사당이 생기고 해마다 단오절에 제사를 거행하고 성대한 놀이를 베풀었다는 <한장군놀이>의 유래가 전하고 있다.
조선 중기에는 송수현(宋秀賢)이라는 현감이 새로 진충사를 지어, 한장군을 모시는 한묘(韓廟)가 두 개가 있었는데 이후로도 한장군은 민간신앙의 대상으로 정착되어 현재는 자인면 · 진량면 등지에 한당(韓堂)이 7개소나 된다.
이들 각 분사(分祠)에서는 정초에 대를 내려 제주를 선발한 뒤 단오굿을 주관하게 하고, 단오굿에 소용되는 비용은 동사(洞祠)가 있는 동을 제외한 경산군 7개면의 면민들이 각 가정에서 거두어 충당하였다.
이곳의 단오굿은 현사(縣司)가 있던 자리에 모였다가 가장행렬로 진장터 광장까지 와서 여원무를 상재하고 한당으로 가서 제사를 올린 후 다시 현사로 돌아와 고을원에게 여원무를 보이고 해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중 <한장군놀이>는 여원화를 쓰고 오색채의(五色彩衣)를 입은 한장군 남매를 앞세우고 민호장(民戶長)과 사또가 따르는 가장행렬을 이른다.
이 가장행렬은 규모가 대단하여 필요한 구성인원만도 장산사명기(獐山司命旗) · 청룡기 · 백호기 · 영기(令旗) 등을 든 사람들과 농악대, 여원화 2명, 무부(巫夫), 희광이, 여장동자 2명, 감사뚝, 군노 2명, 사령 2명, 포장(砲將), 포군 20명, 영장(營將), 기생전배(前陪) 4명, 중군(中軍), 삼재비(세민풍악), 전배통인(前陪通引), 일산(日傘) 및 파초선(芭蕉扇), 도원수, 인배통인(印陪通引), 수배(隨陪 : 讀祝官) 등이 있다.
특히 여원화는 높이가 10자나 되며 한장군 남매를 가장하여 오색 채의를 입혀 거대한 꽃귀신을 연상하게 하는데, 이 여원화에는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 하여 사방에서 몰려든 구경꾼들이 최후의 한 조각까지 남김없이 뜯어간다. 단오굿이 끝난 뒤에는 여흥을 돋우고자 말달리기 · 씨름 · 그네뛰기 등이 공연된다. 1971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현재 기예능 보유자로는 김도근(金道根 : 제관)이 있다.
한장군놀이는 2007년 3월 12일 ‘경산자인단오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