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렬 ()

목차
관련 정보
안동권씨세보 / 항렬록
안동권씨세보 / 항렬록
가족
개념
친족집단 내에서 계보상의 종적인 세대관계.
목차
정의
친족집단 내에서 계보상의 종적인 세대관계.
내용

즉, 종적인 세대에서 형제관계에 있을 때에 같은 항렬이라는 의미에서 주1이라 하고, 위로 아버지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주2, 조부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주3이라 하며, 또 아래로 아들과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주4, 손자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주5이라고 한다.

전통적인 친족제도에서는 계보상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친족관계가 결정되었으며, 친족집단의 질서와 통합은 그러한 친족관계를 바탕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친족집단의 질서와 통합을 위해서는 계보상의 거리에 따르는 친족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였다. 그런데 계보상의 거리는 공동의 조선(祖先)에 대한 세대관계를 통해서 결정되므로, 공동의 조선에 대한 세대관계가 친족관계를 규정하는 일차적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전통적 친족제도에서는 항렬을 특히 강조하고, 각 세대마다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이름 글자 가운데 한 자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상호간의 세대관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한 친족집단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름 자를 주6라고 한다.

항렬자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글자는 오행을 나타내는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토(土), 십간(十干)을 나타내는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수(數)를 나타내는 일(一) · 이(二) · 삼(三) · 사(四) · 오(五) · 육(六) · 칠(七) · 팔(八) · 구(九) 등을 글자의 일부에 포함한 자, 또는 오상(五常)을 나타내는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 · 신(信) 같은 자이며, 때로는 위의 오행 · 십간 · 오상 등을 상징적으로 의미하는 글자도 사용된다.

그러나 그 어느 경우에도 항렬자는 반드시 위의 오행 · 십간 · 수 · 오상 등의 순서에 따라서 각 세대마다 차례로 사용되며, 그 순서가 다 되면 다시 되풀이한다. 그러나 조상의 이름으로 사용된 글자는 되풀이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이름을 한자로 하는 친족집단에서는 위의 원리에 따라서 이름 자의 일부만을 같이 사용함으로써 항렬자를 대신하고, 또 이름자를 두 글자로 하는 친족집단에서는 한 세대씩 항렬자의 위치를 아래와 위로 바꾸어가면서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한 친족집단이 항렬자를 통일하여 그 세대관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앞으로 사용할 항렬자를 족보의 첫머리에 미리 밝혀두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족보 자체가 친족관계를 확인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가족제도연구』(김두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한국의 전통적친족제도의 조직과 그 기능에 관한 일고찰」(최홍기, 『효강최문환박사추념논문집(曉岡崔文煥博士追念論文集)』, 1973)
주석
주1

항렬이 같음. 또는 같은 항렬. 우리말샘

주2

아저씨뻘이 되는 항렬. 또는 그 항렬의 사람. 우리말샘

주3

할아버지뻘의 항렬. 우리말샘

주4

조카가 되는 관계. 우리말샘

주5

손자뻘 되는 항렬. 종손, 재종손, 족손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6

항렬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름자 속에 넣어 쓰는 글자. 성의 본관, 파에 따라 일정하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홍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