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시선 ()

목차
관련 정보
해동시선
해동시선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미상 인물의 시가와 산문을 엮은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 미상 인물의 시가와 산문을 엮은 시문집.
개설

1권 79장. 필사본. 조선 후기의 문장가 정두경(鄭斗卿)의 시가 초록되어 실려 있는 것으로 보면 그 성립연대는 적어도 18세기 이후로 판단된다.

내용

『해동시선』의 내용은 크게 네 부분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송도회고시(松都懷古詩)라고 할 수 있는 일군의 시작품과 최립(崔笠) 및 정두경의 시초(詩抄)가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마지막으로 병자호란 당시 삼학사의 한 사람인 오달제(吳達濟)의 시에 차운한 죽원거사(竹園居士)의 시가 실려 있다.

송도회고시는 고려의 옛 도읍지였던 송도의 여러 풍경을 읊은 시들이다. 그 내용은 송악(松嶽)·진봉산(進鳳山)·천마산(天磨山)·자하동(紫霞洞)·동교(東郊)·예성강(禮成江)·벽란도(碧瀾渡)·용화지(龍化池)·역암(櫪巖)·석전(釋奠)·태평관(太平館)·팔각전(八角殿)·만월대(滿月臺)·양화루(陽和樓)·연복정(延福亭) 등이다. 고려의 주요문인인 이규보(李奎報)·곽예(郭預)·이제현(李齊賢)·이색(李穡)·이숭인(李崇仁) 등의 작품이 두드러진다.

『해동시선』의 ‘최간이집초발(崔簡易集抄拔)’이라는 제목 아래에 최립의 시가 205수 실려 있다. 최립이 송도에 살았고, 당시에 송도삼절의 하나로 불렸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면 이 시선집에 가려 뽑은 최립의 작품은 앞에 실린 송도회고시와 상당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동시선』의 ‘정동명집초(鄭東溟集抄)’라는 제목 아래에 실린 정두경의 시 230수도 송도회고시의 맥락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듯하다.

의의와 평가

『해동시선』은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송도라는 지역적 특성을 배경으로 12세기에서 17세기에 이르는 주요시인의 작품을 가려 뽑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시문학의 양상을 살피는 데에 있어 커다란 도움을 주는 자료이다. 현재 유일본이 고려대학교 도서관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동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