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동굴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동물화석이 발견된 동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동물화석이 발견된 동굴.
내용

1969∼1970년에 북한의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해상리에서 동서방향으로 흐르는 예성강의 지류인 해상강을 따라서 약 45㎞ 거리에 회골이 있다.

유적은 회골의 해상강 왼쪽 산비탈에 위치하며 강바닥보다 24∼25m 높이에 있다. 홍적세 후기 말에 해당하는 이 동굴은 고회암용식으로 동서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다. 동굴 입구 2m, 높이 1.9m의 원형이다. 동굴 입구에서 4m의 거리에 수 미터되는 퇴적층이 있다. 퇴적층은 2층으로 구분된다.

1층은 모래질 진흙층으로 화석이 포함되어 있고, 2층은 찰흙층으로 두께는 수 m로 명확히 알 수 없고 화석은 없다. 동물화석은 3목(目) 7과(科) 9속(屬) 12종(種)이 출토되었다. 종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해 우제류와 식육류가 대부분이다.

동물화석으로는 비단털쥐과(Cricetidae gen. indet)·오소리(Meles meles L.)·큰곰(Ursus arctos)·동굴곰(Ursus spelaeus)·곰(Ursus tibetanus)·범(Felis tigris)·멧돼지(Susscrofa)·노루(Capreolus caprea)·복작노루(Hydropotes innermis swinhoe)·사슴(Cervus nippon teminsk)·누렁이(Cervuselaphus)·산양(Nemorehaedus goral) 등이 있다.

동물화석 중 가장 많이 출토된 것이 우제류이며, 그 중에서도 사슴과가 전체 화석수의 80.2%이고, 마리 수는 58.9%를 차지한다. 다음은 식육류로 곰·큰곰과 동물곰이다. 해상동굴 동물상은 청청암동굴 동물상보다 산악적 성격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유적에서는 층서학의 의의가 있는 표준화석이 출토되지 않았으며 모두 현대 동물종들이다. 청청암 유적과 같이 이 유적에서도 사슴·누렁이·노루 등이 출토된 점은 한반도지역에 일찍부터 사슴과 동물이 서식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참고문헌

「평산군 해상동굴퇴적층의 포자-화분조합에 대한 고찰」(김홍걸, 『조선고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92)
「청청암 및 해상동굴유적 발굴보고」(김교경, 『고고학자료』1974년 4집, 사회과학출판사, 1974)
집필자
최무장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