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사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양갓집 규문(閨門)에서 예의범절을 익히고, 방적침선(紡績針線)을 일삼다가, 부모형제와 일가친척을 떠나 출가하여 온갖 시집살이를 해야 하는 고달픈 생활상을 그린 내용이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16행이다. 국한문혼용 표기로 오자 오철(誤綴)이 많다.

내용

이 노래는 5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었는데, 각 단락마다 새로운 장면이 배합되어 내용전개에 다양성을 더해 주고 있다. 제1단은 “銀河(은하)의 織女(직녀)갓치/나날이 길삼하야/銀錦(은금)을 짜내어서/君子衣服(군자의복) 하올적에/……奉祭祀(봉제사)하난 법은/채문희에 현보어날/接賓客(접빈객) 하난법은/우모에 단충이라”라고 좋은 집안에 태어나서 언행, 방적(紡績), 침선(針線), 제사 받드는 법, 손님 접대하는 법 등을 두루 잘 익혔음을 읊었다.

제2단은 “赤壁江(적벽강) 발근달에/仙遊(선유)를 성판하니/선연한 一葉舟(일엽주)로/中波(중파)에 배띄우니/淸風(청풍)은 徐來(서래)하고/水波(수파)는 不息(불식)이라/……”라고 하여 달밤 뱃놀이의 흥취(興趣)를 읊은 것으로, 자신이 광한루의 선녀 같고, 배반(杯盤)이 낭자(狼藉)하여 요지연(瑤池宴)의 잔치 같다고 하면서 천고의 승유(勝遊)라고 하였다.

제3단에서는 “堂上(당상)에 白髮雙親(백발쌍친)/차마한들 떠날손가/膝下(슬하)에 메압기를/千年萬年(천년만년) 역엿더니/女子(여자)우리 무삼법이/一刻(일각)에 하즉하뇨”라고 출가하여 시댁으로 떠날 때, 부모형제와 벗들을 이별하는 슬픔과 멀어져 가는 고향산천을 노래하였다.

제4단은 “가든날 전역부텀/賤役(천역)으로 薄待(박대)하여/平生(평생)에 못할일을/낫낫치 씨겨내니/……嚴冬雪寒(엄동설한) 추운때에/玉手(옥수)가 절로튼다”라고 시댁에 당도하여 그날부터 범 같은 시부모와 간교한 시누이 밑에서 온갖 천한 일에 시달리며 살면서, 밤마다 고향산천을 생각하고 다음 세상에는 남자로 태어났으면 하는 내용이다.

제5단은 한탄이 쓸데없음을 생각하고, 규방의 행실과 소임을 다하면 복을 받을 것이라고 노래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노래는 고달픈 시집살이의 역겨움을 나타내 주고 있기는 하나 미래에의 꿈과 함께 인고의 미덕을 보여 주어 한결 감응적이다.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김성배 외 편, 정연사,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