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사양위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음인이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음인이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에도 제시되어 있는 처방이다.

처방의 내용은 인삼·백출(白朮)·백작약(白芍藥)·감초구(甘草灸)·반하(半夏)·향부자(香附子)·진피(陳皮)·건강(乾薑)·산사육(山査肉)·사인(砂仁)·백두구(白荳蔻) 각 3.75g, 생강 3쪽, 대추 2개로 되어 있다.

적응증으로는 소음인의 식상(食傷)·담체(痰滯)·탄산(呑酸)·조잡(嘈囃)·애기(噫氣)·육울(六鬱)·과채적(果菜積)·부종(浮腫)·식창(食脹)·고창(鼓脹)·황달(黃疸)·변혈(便血)·식담(食痰)·설사·이질 등이 있어 급만성위염·만성대장염·위무력증·위산과다 등 질병에 응용할 수 있다.

이 처방은 이중탕(理中湯)에 사인·향부자·백작약·반하·진피·산사·백두구를 첨가한 처방이다. 또한, 공신(龔信)의 ≪의감 醫鑑≫에 나오는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이나 장중경(張仲景)의 ≪상한론 傷寒論≫에 나오는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의 변방(變方)이기도 하다.

이중탕 역시 장중경이 만든 처방으로 비위의 온기를 조절함으로써 위에 들어간 음식을 제대로 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처방을 만든 목적이 있다.

즉, 인삼과 백출로써 승양(升陽)하면서 고양(固陽)하게 하고 감초로써 화중(和中)하면서 한탁(寒濁)한 기운을 없애도록 하여, 상초(上焦:胃의 윗부분)와 중초(中焦:胃언저리)에 사기(邪氣)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식욕이 없으면서 소화가 잘 되지 않거나, 뱃속이 더부룩하고 변이 묽어지는 증세, 또는 부인이 하초(下焦:배꼽아랫 부분)에 축혈(畜血)되는 것 등은 모두 중기부족(中氣不足:사람의 속 기운이 부족함)에 원인이 있는 까닭에 이제마는 향사양위탕을 만들 때에 이중탕을 기본으로 하였던 것이다.

그는 이중탕에 향부자·사인을 가하여 통행주신(通行周身:기운이 몸을 한바퀴 돌음)하면서 사기를 제거하도록 하고, 백작약으로 역행지기(逆行之氣)를 바로잡고, 건비순기(健脾順氣)시키는 반하와 진피, 그리고 제통(除痛)·소식(消食)·지구(止嘔)·안신(安神)하는 산사와 백두구를 첨가함으로써 삼초(三焦)의 기운을 이기(理氣:기운을 다스림)시키는 처방으로써의 향사양위탕을 만들었다.

따라서, 이 처방은 비위의 기능이 약화되기 쉬운 소음인에게 사용하여 내상(內傷)으로 오는 비위기능의 부조화를 잡아줄 수 있는 약이 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주석』(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동의사상처방집(東醫四象處方集)』(염태환, 행림서원, 197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