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시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初試) 중 전국의 8도(道)에서 지역별로 시행한 시험.
제도/법령·제도
폐지 시기
1894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향시는 조선시대 문과·무과·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初試) 중 전국의 8도(道)에서 지역별로 시행한 시험이다. 한성시 등 다른 초시와 마찬가지로 합격자에게 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으며, 시험 날짜나 시험 과목도 동일하였다. 각 도에서 선발하는 인원은 법으로 정해져 있었다.

정의
조선시대,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初試) 중 전국의 8도(道)에서 지역별로 시행한 시험.
향시의 설치

조선시대 과거증광시(增廣試)식년시(式年試) 등 일부 시험은 전국에서 지역별로 초시(初試)를 치른 후 합격자들을 모아 한양에서 2차 시험인 복시(覆試)를 치렀다. 초시 중 한성부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한성시(漢城試), 도별로 시행한 시험을 향시(鄕試)라고 일컬었다. 문과의 경우 성균관 유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관시(館試)도 있었다.

도별로 시행하는 향시는 한성시, 관시, 원시 등 다른 초시와 마찬가지로 합격자에게 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으며, 시험 날짜와 시험 과목도 동일하였다. 향시에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만 응시할 수 있었으며, 각 도에서 선발하는 인원은 법으로 정해져 있었다.

경기도 향시의 폐지

향시는 전국 8도에서 시행하였으나 경기의 향시는 중간에 폐지되었다. 무과의 경우 1423년(세종 5)에 응시자가 적다는 이유로 폐지되었다. 문과와 생원진사시는 1417년(태종 17)에 폐지되었다가 1443년(세종 25)에 부활했다. 하지만 임진왜란 후인 1603년(선조 36)에 다시 폐지되었다. 경기도 향시가 폐지된 후 그 선발 인원은 무과는 훈련관시(訓鍊觀試, 뒤의 훈련원시), 문과와 생원진사시는 한성시로 이관되었고, 경기도의 유생과 무사는 향시 대신 한성시와 훈련관시에 응시하였다.

향시의 시행

향시는 도별로 시행하는 시험으로 문과와 생원진사시는 각 도의 관찰사, 무과는 각 도의 병마절도사가 관장하였다. 시험장인 시소(試所)는 강원도와 황해도는 한 곳만 설치하였으나 다른 도는 좌도 · 우도, 혹은 남도 · 북도로 나누어 두 곳을 설치하였다. 두 곳에 시소를 설치하는 경우 대개 각 시소에서 법으로 정해진 선발 인원의 절반씩을 선발하였다. 그러나 지역의 응시 규모에 비추어 차등을 두기도 하였다. 가령 평안도 생원진사시 향시의 선발 인원은 북도는 20명, 남도는 25명으로 차이가 있었다. 제주도의 경우 전라도에 속하지만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었던 탓에 무과는 1513년(중종 8)부터, 문과는 1701년(숙종 27)부터 별도로 시험을 시행하여 전라도의 선발 인원 25명 중에서 무과 3명, 문과 1명을 따로 선발하였다.

향시의 시관은 처음에는 각 도의 관찰사와 병마절도사가 도내에 재직 중인 문관과 무관 중에서 선임하여 시소마다 3명씩 파견하였다. 그러다가 문과와 생원진사시는 명종 때부터 제도를 바꾸었다. 각 도의 좌도와 남도에는 조정에서 파견하는 경시관(京試官)이나 평사(評事)가, 우도와 북도에는 각 도의 도사(都事)가 상시관(上試官)을 담당하게 하였다. 나머지 참시관(參試官) 2명은 관찰사가 문관 수령 중에서 선임하였다. 시기에 따라 좌도와 우도, 북도와 남도를 막론하고 모두 경시관을 파견한 경우도 있었다.

식년시나 증광시 외에 별시(別試)정시(庭試) 등에서도 초시를 한성시와 향시로 나누어 시행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때는 관련 규정을 따로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논문

박현순, 「조선후기 과거의 방목문서와 방목성책」(『조선시대사학보』 85, 조선시대사학회, 2018)
원창애, 「조극선(趙克善) 일기를 통해본 17세기 전반기의 과거 실태」(『조선시대사학보』 83, 조선시대사학회, 2017)
차미희, 「『溪巖日錄』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文科 경상도 鄕試」(『한국사학보』 53, 고려사학회, 2013)
차미희, 「17세기 예안 사족 金坽과 과거시험」(『국학연구』 23, 한국국학진흥원,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