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시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경축할 일이 있거나 문신 중시가 실시될 때 시행되는 문과와 무과의 한 종류.
이칭
이칭
경과(慶科)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내용 요약

별시는 조선시대에 경축할 일이 있거나 문신 중시가 실시될 때 시행되는 문과와 무과의 한 종류이다. 식년시와 구분하여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이라는 의미를 가지기도 하고, 국가와 왕실의 경축할 일이 있거나 문신중시가 실시될 때 시행되는 문과와 무과의 한 종류라는 뜻의 고유명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고유명사로서의 별시는 실시되는 명분에 따라서 증광시, 정시와 함께 경과(慶科)로 분류되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경축할 일이 있거나 문신 중시가 실시될 때 시행되는 문과와 무과의 한 종류.
내용

조선시대에 별시라는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보통명사로서의 의미로, 문과, 무과, 잡과, 생원진사시에서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식년시 외에 부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시험을 말한다. 증광시, 정시, 알성시, 춘당대시 등 부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시험들이 모두 별시에 포함된다.

또 다른 하나는 고유명사로서의 의미로, 국가와 왕실에 각종 경사가 있거나 문신 대상의 중시(重試)가 실시될 때 문과와 무과에서 초시전시의 두 차례 시험 절차를 거쳐 급제자를 선발하는 별시가 있다. 고유명사로서의 별시는 국가와 왕실에 경사가 있을 때 실시된다고 하여 경과(慶科)라고도 불렀는데, 경과에는 증광시와 정시도 포함되었다.

그러나 경과 내에서도 시험의 중요성에 따라 증광시, 별시, 정시의 순서로 서열이 정하여졌다. 실시되는 명분을 보면 증광시는 ‘국왕의 즉위와 같은 나라의 큰 경사가 있거나 여러 경사가 합쳐질 때’라고 하여, 경축의 내용과 규모 자체가 별시 및 정시와 구분되었다. 또한 증광시에서는 문과, 무과, 잡과, 생원진사시가 함께 실시된 반면에 별시 및 정시에서는 문과, 무과만이 실시되는 차이가 있었다.

가장 중요한 시험인 문과만을 놓고 경과 안에서 서열을 비교해 보면, 증광시 문과는 절차와 급제자 수 등이 식년시에 준해서 결정되어 초시, 복시, 전시의 3단계 절차에 거쳐 최종 33명의 급제자가 배출되었으며, 대증광시에서는 40명까지 급제시킬 수 있었다. 반면에 별시 문과와 정시 문과에서는 초시와 전시의 2단계만을 거치도록 하고 급제자 수도 실시 때마다 국왕의 뜻을 받들어 정하게 함으로써 확실히 증광시와 구분되었다.

한편, 별시 문과와 정시 문과는 실시되는 명분, 시험 절차, 급제자 수 등에서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실제 운영에서 정시 문과는 국왕이 친림하였을 때에는 단 한 번의 시험으로 그쳤으며, 급제자 수도 별시 문과가 대략 10명 내외를 선발하였던 것에 비해 10명 이하를 선발함으로써, 별시가 정시보다 중요한 시험이라는 인식이 생겼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단행본

차미희, 『조선시대 문과제도연구』(국학자료원, 1999)

논문

송만오, 「조선시대 외방별시 문과에 대한 몇 가지 검토」(『한국민족문화』 68,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송만오, 「조선시대 증광시 문과에 관한 몇 가지 검토」(『국학연구』 36, 한국국학진흥원, 2018)
송만오, 「조선시대 비정기 문과의 운영에 관한 몇 가지 검토(1): 별시, 정시, 알성시의 내용을 중심으로」(『서울과 역사』 82, 서울역사편찬원, 2012)
집필자
차미희(이화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