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과거 시험에서 사서오경에 대한 이해를 구두(口頭)로 평가하는 방식.
이칭
이칭
강경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내용 요약

강서는 조선시대, 과거 시험에서 사서오경에 대한 이해를 구두(口頭)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강서에도 난이도와 중요성에 따라서 서적을 펴놓고 읽으면서 뜻을 해석하는 임문(臨文), 책을 보지 않고 뜻을 해석하는 배강(背講), 책을 보지 않고 글을 외우게 하는 배송(背誦) 등으로 구분하였다. 배송으로 시험본 책은 문과 식년시 복시에서의 사서오경과 명경시에서의 사서오경, 잡과 중 의과에서 중국 의서인 『찬도맥』과 『동인경』 등이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과거 시험에서 사서오경에 대한 이해를 구두(口頭)로 평가하는 방식.
내용

조선시대 과거 시험의 고시 과목은 시험을 보는 방식에 따라 크게 주1강서로 나누어진다. 제술은 필기시험에 해당하는 반면 강서는 응시생이 주2의 이해 정도를 구두시험 방식인 강독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강서는 문과,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무과, 잡과(雜科) 모두에서 실시되었다.

강서에도 난이도와 중요성에 따라서 서적을 펴놓고 읽으면서 뜻을 해석하는 임문(臨文), 책을 보지 않고 뜻을 해석하는 배강(背講), 책을 보지 않고 글을 외우게 하는 배송(背誦) 등으로 구분하였다.

문과 식년시(式年試)복시(覆試) 주3에서 주4을 강독으로 시험 보았으며, 응시생이 나머지 두 개의 경서와 주5의 강경을 원하면 들어주었다. 이때 사서오경 강서는 모두 배송으로 요구되었으며, 경서를 제외한 자사는 임문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보면 경서를 이해하는 것이 자사를 이해하는 것보다 더 중요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년시에서는 아예 초시와 복시 모두 사서오경을 강서로만 시험 보는 주6가 있었는데, 명경시는 물론 복시 초장에서 강독의 대상이 경학(經學) 서적일 때에는 강서를 강경(講經)이라고도 불렀다. 문과는 각 시험 단계마다 시험에 앞서 응시 자격을 강독으로 확인하는 시험이 있었다.

이 시험에는 초시에 앞서 『소학(小學)』을 강독하는 조흘강(照訖講), 복시에 앞서 『경국대전』『가례』를 강독으로 시험하는 주7이 있었다. 초흘강과 전례강은 모두 임문으로 시험을 보았다.

무과 식년시의 복시에도 강서가 있었는데, 이때 『경국대전』은 필수로 하되, 사서오경 중 1권, 무경칠서(武經七書) 중 1권, 주8, 『병요(兵要)』, 주9 중에서 1권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모두 임문하도록 하였다. 무과에서는 무예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강서는 임문 정도로만 요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잡과에서는 초시와 복시의 시험 과목이 동일하였는데, 잡과 중 의과, 음양과(陰陽科), 율과(律科)는 대체로 각 해당 전문 서적을 강서로 평가하였다. 반면 역과(譯科)는 글씨를 베껴 쓰는 주10와 강서로 나뉘었다.

이 중 강서가 중심인 의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지방(直指方)』, 『부인대전(婦人大全)』 등의 중국 의서, 『창진집(瘡疹集)』, 『구급방(救急方)』, 『태산집요(胎産集要)』 등 조선의 의서를 임문하게 하였다. 또한 전통 의학에서는 진맥과 침, 뜸 등을 가장 중시하였기 때문에 중국 의서인 『찬도맥(纂圖脈)』주11을 배송하게 하였다.

강서의 점수는 각각의 문항에 따라 통(通), 약(略), 조(粗), 불통(不通) 등으로 나뉘었다. 약 이상을 선발하는 명경시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조 이상의 점수를 받으면 해당 시험을 통과시키거나, 통, 약, 조를 각각 2분, 1분, 0.5분으로 환산하여 시험 성적에 반영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차미희, 『조선시대 문고제도연구』(국학자료원, 1999)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집문당, 1994)

논문

김경용, 「조선조 과거제도 시행과정의 탐색: 식년시 문과와 생진과를 중심으로」(『교육사학연구』 25-1, 교육사학회, 2015)
주석
주1

시나 글을 지음.    우리말샘

주2

사서와 오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다섯 경서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사흘에 걸쳐 나누어 보던 문과(文科) 시험에서, 첫날의 시험장을 이르던 말.    바로가기

주4

사서와 삼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의 세 경서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5

옛 서적을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사부(四部)로 나눌 때 자부(子部)와 사부(史部)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제자(諸子)의 책과 역사책 따위가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식년(式年) 문과 초시에서 사경(四經)을 중심으로 시험을 보던 분과.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문과의 복시를 치기 전에 ≪경국대전≫과 ≪가례≫를 강독하게 한 시험. 조선 후기에 ≪경국대전≫은 ≪대전회통≫으로 대체되었다.    우리말샘

주8

중국 송나라 때에 소미 선생 강지(江贄)가 ≪자치통감≫을 요약한 책. 편년체로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이 이름으로 초학(初學) 교재로 널리 쓰였다.    바로가기

주9

중국 송나라 때의 대계(戴溪)가 춘추 전국 시대의 손무부터 오대(五代)의 곽숭도(郭崇韜)까지 역대 명장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논한 책.    바로가기

주10

글씨를 베끼어 씀.    우리말샘

주11

중국 송나라 인종 때, 왕유덕(王維德)이 지었다고 전하는 침구서(鍼灸書). 우리나라에서 침술의 기본 교재로 삼았으며, 조선 시대 전의감에서 베풀던 의과 초시의 한 과목이었다.    바로가기

집필자
차미희(이화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