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방 ()

목차
관련 정보
구급방
구급방
언어·문자
문헌
위급환자의 병명과 치료법을 수록하여 1466년에 간행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위급환자의 병명과 치료법을 수록하여 1466년에 간행한 의서.
서지적 사항

2권 2책. 목판본.

내용

흔히 ≪구급방언해≫라고 불리나 이 책의 표지와 판심(版心)의 제목은 모두 ≪구급방≫으로 되어 있다.

초간본의 간행시기는 ≪세조실록≫ 세조 12년 6월조에 “팔도에 구급방을 각각 2건씩 하사하시다(賜八道救急方各二件).”라는 기록으로 미루어보아 1466년 무렵에 간행, 배포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언해(諺解)는 선조 때 명의 허준(許浚)이 하였다는 설도 있으나, 활자가 을해자(乙亥字)라는 사실과, 국어 및 한자표기법 등으로 미루어보아 중종 이전의 언해임이 확실하므로 허준의 언해라고는 볼 수 없다.

≪구급방≫의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중간본이 전해지고 있는데, 현재 일본의 호사문고(蓬左文庫)에 완질이,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에 상권이 전한다. 이들은 완전히 같은 판본으로서 후자가 낙장본임이 다를 뿐이다.

이 중간본은 늦어도 16세기 중엽에는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중간본이라 하더라도 을해자로 된 초간본의 복각본(覆刻本)이므로 15세기 국어 문헌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 책은 성종 때 9권으로 증보되었는데, ≪구급간이방 救急簡易方≫이라는 이름으로 1489년(성종 20)에 간행, 배포되었다. ≪구급방≫의 내용은 응급조치를 해야 할 위급환자의 병명과 그 치료법을 36개 항목에 걸쳐 수록하고 있다.

상권은 주로 내과(內科)에 속하는 것으로 중풍(中風)·중한(中寒)·중서(中暑)·중기(中氣)·토혈·하혈·대소변불통·요수(溺水) 등 19개 항목이 수록되어 있고, 하권은 주로 외과(外科)에 속하는 것으로 척상(刺傷)·교상(咬傷)·화상(火傷)·독충상(毒蟲傷) 및 해산부(解産婦)의 응급치료법 등이 17개 항목에 걸쳐서 수록되어 있다.

≪구급방≫의 편찬에 참고, 인용한 의서는 34종이나 되는데, 대개가 당나라·송나라·원나라 및 명나라초의 의서 28종에 전래의 국내의서인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삼화자방 三和子方≫·≪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 등에서 묘방을 추리고 다시 당시의 처방을 덧붙였다.

국어사적으로 볼 때 이 책은 16세기 이전의 국어표기를 보이고 있는데, ≪동국정운≫식 한자음표기에 따라 초성에 ‘ㆆ’(○(因)ᄒᆞ야), 종성에 ‘ㅱ’과 ‘ㅇ’ 등 (○링 調理)이 나타난다.

우리말표기에 있어서도 ‘ᅀᅠ’(무○ 菁), 특히 ‘ㅸ’(수ᄫᅵ 易) 등이 쓰이고 있다. 그리고 호사문고본의 상권이 1971년≪한글≫ 148호에, 하권이 1972년≪한글≫ 149호에 영인되었으며, 1975년에 한글학회에서 상·하권을 합본하여 영인, 출판하였다.

참고문헌

『세조실록』
『성종실록』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안병희, 『규장각』 3, 서울대학교도서관, 1979)
「구급방언해문헌고」(김지용, 『한글』 148, 197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