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경초집언해 ()

목차
관련 정보
마경초집
마경초집
언어·문자
문헌
17세기경에 『마경대전』과 『신편집성마의방』에서 필요한 내용을 간추려 풀이한 언해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7세기경에 『마경대전』과 『신편집성마의방』에서 필요한 내용을 간추려 풀이한 언해서.
서지적 사항

2권 2책. 목판본. 『마경언해』라고도 부른다.

간기(刊記)가 없기 때문에 이 책의 편찬자와 편찬경위 및 간행시기 등에 대하여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인조 때 이서(李曙)에 의하여 간행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한편 저자에 대한 언급이 없이 1682년(숙종 8) 전후에 간행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내용

상권은 논마유부모(論馬有父母)·상량마도(相良馬圖)·상량마가(相良馬歌)·상량마법(相良馬法) 등등의 항목이 수록되고, 하권은 마환냉장즐사병도(馬患冷腸瀄瀉倂圖)·마환신구내사병도(馬患新駒嬭瀉倂圖) 등등의 항목이 수록되어 있는데, 곳곳에 삽화(揷畫)까지 끼워넣어 이해를 돕고 있다.

내용은 노마(駑馬)·흉마(凶馬)의 변상법(辨相法), 마수(馬壽)·마치(馬齒)·장부진맥법·양마법·방목법(放牧法)·행침법(行針法)·골명법(骨名法)·혈명도(穴名圖) 등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언해하였다. 그밖에 말의 오장육부 질환과 각종 골저(骨疽)·창상·온역문(瘟疫文) 등이 나누어 해설되어 있다.

이 책에서 드러난 언어기술태도는 동국정운식(東國正韻式) 한자음이 아닌 현실 한자음을 달아놓았다는 것과 국어기술에 있어서 비교적 보수적 태도를 취하여 당시의 국어보다 시간적으로 앞 시대의 언어상태가 그대로 기술되었다는 것 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 책의 언어를 17세기 국어자료로 곧 이해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러나 아무리 보수적인 표기를 취한다고 하여도 당대의 언어 노출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는 것이다.

“ᄭᅮᆯ<ᄢᅮᆯ 蜜)”이라든지 “ᄆᆡᆫᄃᆞ(<ᄆᆡᆼᄀᆞ 造)” 등과 같이 근세어의 양상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고, 또 “우를, 양반을” 등에서 모음조화(母音調和)를 무시하고 “·를, ·을”로의 편재(偏在)를 보이는 것도 곧 근세어의 특징을 노출시키고 있는 것이다. 1983년에 홍문각(弘文閣)에서 2권을 합본하여 영인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도서 등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66)
『고친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朝鮮語學史』(小倉進平, 東京 刀江書院, 194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