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이해방 ()

구급이해방
구급이해방
언어·문자
문헌
교서관에서 홍귀달 등이 향약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처방을 모아 1499년에 간행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교서관에서 홍귀달 등이 향약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처방을 모아 1499년에 간행한 의서.
서지적 사항

1책. 활자본.

편찬/발간 경위

1523년(중종 18)에 곤양군에서 개간되었다. 홍귀달(洪貴達)의 서(序)와 권건(權健)의 발(跋)에 의하면, 1498년 내의원(內醫院)의 도제조(都提調)인 윤필상(尹弼商)과 제조 홍귀달, 부제조 정미수(鄭眉壽), 내의(內醫) 김흥수(金興守) 등이 왕명에 따라서 찬집하고 이를 또한 언해하여, 1499년에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 반포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세종 때의 ≪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과 ≪의방유취 醫方類聚≫는 너무 호한(浩瀚)하고 세조 때의 ≪구급방≫은 너무 간략하므로, 이러한 사항을 보충하기 위하여 향리에서 산출되는 약재를 주로 하여 민간 구급에 필요한 간단한 방문(方文)들을 모아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방서로 편집하였다고 한다.

내용

내용은 중풍(中風)·중한(中寒)·상한(傷寒)·상풍(傷風)·중서(中暑)·중습(中濕)·안질(眼疾)·치통(齒痛)·인후(咽喉)·구설(口舌)·부인조경(婦人調經)·임신(姙娠)·난산(難産)·포의불하(胞衣不下)·산후(産後)·소아경간(小兒驚癇)·소아체(小兒啼)·창진(瘡疹)·본조경험(本朝經驗) 등 80여개의 항목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당시의 우리나라 고유 의서로서 특기할 만하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서와 발이 없는 ≪구급이해방≫이 소장되어 있으며, 언해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고친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6)
『朝鮮語學史』(小倉進平, 東京 刀江書院, 194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