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간이방 ()

목차
관련 정보
구급간이방 권6
구급간이방 권6
의약학
문헌
조선전기 문신 윤호 등이 질병을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방문을 모아 1489년에 간행한 의서. 구급방서 · 언해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문신 윤호 등이 질병을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방문을 모아 1489년에 간행한 의서. 구급방서 · 언해서.
개설

우리나라의 구급방서(救急方書)로서는 가장 완비된 책으로, 질병을 중풍·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서 그 치료방문을 모아 엮었다. 시골에서도 이 책만 있으면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은 물론 병명까지 한글로 언해를 붙여놓았다.

내용

8권 8책. 을해자본. 『성종실록』 20년 5월 말일의 기사에 따라 9권으로 알려지기도 하였으나, 권1 첫머리의 서문과 목록 등에 근거하면 8권이 정확하다.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을해자본의 복각인 중간본만 전한다. 그러므로 원간본은 을해자로 되었으며, 그것을 지방에서 복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전의 『고사촬요(攷事撮要)』에 나타난 책판 목록에 의하면, 원주·전주·남원·합천·곤양(昆陽)·해주 등에 책판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중간본도 완질이 아니고 권1·권2·권3·권6·권7의 5권 5책만 알려져 있다.

이들은 같은 판본이 아니나, 임진왜란 이전의 간본임에는 틀림없다. 이 중 권1·권2는 1982년 『동양학총서』 9집으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영인본으로 간행하였다.

8권 8책 가운데 권6의 1책은 1996년과 2006년에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한독의약박물관과 허준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구급간이방은 의학서로서 우리나라 의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언해로서 중세국어 연구에 특이한 자료가 된다. 예컨대, 언해에서 ‘ㅿ’이 혼란된 ‘ᄉᆞᅀᅵ예(권1)∼ᄉᆞ이예(권1), 두ᅀᅥ(권2)∼두어(권2)’, 어두의 경음화를 보이는 ‘ᄯᅵ허(권1)·ᄯᅵ흐니(권1)’ 등과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국어사 연구에서 이용되는 자료들이다.

참고문헌

「구급간이방해제(救急簡易方解題)」(전광현, 『구급간역방언해(영인본)』,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1982)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안병희, 『규장각』3, 1979)
『朝鮮醫書誌』(三木榮 增補版, 大阪學術圖書刊行會, 1973)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안병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