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보살주경언해 ()

목차
언어·문자
문헌
『관음보살주경』을 풀이하여 1476년에 간행한 언해서.
이칭
이칭
천수경언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관음보살주경』을 풀이하여 1476년에 간행한 언해서.
내용

1권 1책. 『관음보살주경』은 천수관음의 삼매(三昧)를 표시한 다라니를 실은 불경인데, 원래의 책명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陀羅尼經)』으로서 때로는 『천수경』·『천수다라니』·『대비심다라니』·『화천수(畵千手)』로도 불린다.

이 언해본은 첫머리에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계청」을 실은 뒤에, 사십이수진언(四十二手眞言)의 명칭을 한자로 적고, 그 진언의 뜻을 한글만으로 언해한 다음, 진언을 한글로 음역하였으며, 난 위에는 진언의 수인도(手印圖)를 그려놓았다.

책 뒤에 있는 기록에 의해, 학조(學祖)의 가르침에 따라 편찬되어 궁중의 도움으로 간행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진언의 뜻풀이에 나타나는 한자어는 『동국정운』의 한자음을 지양하고 있고, 진언의 음역은 『오대진언(五大眞言)』의 한글 음역과 일치한다. 난 위의 수인도는 매우 정교하다. 그러므로 이 책은 국어사와 판화의 역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진언을 한글로 음역한 최초의 단행본으로서 불교사 연구에도 가치가 있다. 이 책은 1934년 책의 사진과 함께 소개되었는데, 현재 그 소재는 알 수 없다. 같은 이름의 책으로서, 1857년(철종 7) 간행본 등이 있으나, 체재가 전혀 다르고 진언의 음역도 판이하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76)
『朝鮮佛敎史の硏究』(江田俊雄, 東京 國書刊行會, 1977)
「朝鮮語佛典に就いて」(江田俊雄, 『靑丘學叢』15, 1934)
집필자
안병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