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시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 중 한성부에서 실시한 시험.
제도/법령·제도
폐지 시기
1894년
내용 요약

한성시(漢城試)는 문과·무과·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初試) 중 한성부에서 시행한 시험이다. 향시 등 다른 초시와 마찬가지로 합격자에게 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으며, 시험 날짜나 시험 과목도 동일하였다. 한성시에는 다른 지역 거주자도 응시할 수 있었다.

정의
조선시대,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 중 한성부에서 실시한 시험.
한성시의 설치

조선시대 과거식년시증광시 등 일부 시험은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초시를 지역별로 나누어 실시하고 그 합격자들을 모아 한양에서 2차 시험인 복시를 치렀다. 초시는 한성부와 8도 등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는데, 한성부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한성시(漢城試), 도별로 시행하는 시험은 향시(鄕試)라고 하였다. 문과의 경우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주1도 있었다. 무과의 경우 한양에서 시행하는 무과 초시는 훈련원에서 주관하여 원시(院試)라고도 하였으나 그 성격은 한성시와 같았다.

선발 인원

한성시는 향시와 같은 단계의 시험으로 다른 초시와 마찬가지로 합격자에게 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으며, 시험 날짜와 시험 과목도 같았다. 하지만 도읍(都邑)인 한성부에서 시행하는 시험이라는 특성 때문에 다른 점도 있었다. 우선 향시에는 해당 지역 거주자만 응시할 수 있었으나, 한성시에는 다른 지역 거주자도 응시할 수 있었다. 도읍(都邑)이라는 특성상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성시는 향시에 비해 선발 인원이 많았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규정을 기준으로 보면 문과는 240명 중 40명, 무과는 190명 중 70명, 생원 · 진사시는 각 700명 중 200명을 한성시에서 선발하였다. 특히 무과의 선발 비중이 높았는데, 무과는 경기도 향시를 시행하지 않고 한성시에서 함께 선발하였기 때문이다. 문과와 생원 · 진사시도 임진왜란 후인 1603년(선조 36)에 경기도 향시를 폐지하고 경기도 유생은 한성시에 응시하게 하였다. 그리고 경기 향시의 선발 인원인 문과 20명, 생원 · 진사시 각 60명을 한성시에서 선발하도록 하였다. 또 문과는 정조 때부터 초시 중 성균관의 관시(館試)를 폐지하고 그 선발 인원 50명도 한성시에서 선발하여 한성시의 선발 인원이 더 늘어났다.

시행

한성시의 시험장인 주2는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 모두 두 곳씩 설치하였다. 시험에 앞서 응시 등록인 녹명(錄名)을 할 때 두 곳의 응시 인원이 비슷하도록 안배하였는데, 무과의 경우 한성부는 주4를 기준으로 나누고, 지방 거주자는 도별로 나누어 시험장을 배정하도록 법제화되어 있었다. 한성시는 중앙 정부에서 직접 관장하였기 때문에 향시와 달리 시관(試官)도 중앙 정부에서 직접 파견하였다. 과거 시험을 치르는 곳마다 문과와 생원 · 진사시는 3품~6품 사이의 문관 3명, 무과는 2품 이상 관원 1명과 문관 · 무관 당하관 1명씩을 파견하였다. 또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 모두 시관과 별도로 시험을 감독하는 감시관(監試官)으로 사헌부 감찰 1명씩을 파견하였다. 이 때문에 한성시는 향시에 비해 시험의 관리가 엄격하였다. 식년시나 증광시 외에 별시정시 등에서도 초시를 한성시와 향시로 나누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때는 규정을 따로 마련하였다.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성균관 유생만이 볼 수 있는 문과(文科)의 초시(初試). 대과(大科)의 초시는 대개 한성부(漢城府)와 팔도(八道)에서 보았으나, 특별한 경우 성균관의 생원ㆍ진사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 우리말샘

주2

과거 시험을 치르던 곳.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성균관 유생만이 볼 수 있는 문과(文科)의 초시(初試). 대과(大科)의 초시는 대개 한성부(漢城府)와 팔도(八道)에서 보았으나, 특별한 경우 성균관의 생원ㆍ진사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 우리말샘

주4

종을 달아 두는 누각.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