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루의 크기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건물. 평양성 북성(北城)의 북문으로 모란봉(牧丹峰)과 을밀대(乙密臺) 사이에 있으며 1714년(숙종 40)에 중건하였다.
평양성의 성 안은 4개 구역으로 나뉘어 내성·중성·외성·북성으로 이루어졌는데, 내성은 왕이 살던 궁성이고, 중성에는 여러 관청들이 있었으며, 외성은 주거지역이다. 북성은 궁성을 방위하는 겹성의 성격을 띤 것으로서 그곳에는 사찰들도 있었다. 이러한 북성의 북문이 현무문이다.
현무문은 그 사이에 열린 통로, 축대 좌우의 적대(敵臺 : 성문 양 옆에 외부로 돌출시켜 옹성과 성문을 지키는 방형의 대), 그리고 문루로 이루어졌다. 성문축대는 다듬은 돌로 선과 면을 갖추어 정연하게 쌓았으며, 가운데에 홍예문(虹霓門)을 냈다.
그리고 축대 위의 문루는 8개의 두리기둥 위에 단익공(單翼工)의 팔작지붕으로 간단한 단청장식을 하였는데, 이것은 평양성 내성의 북문인 칠성문(七星門)과 같이 고구려의 독특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