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공 ()

목차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때, 대보 등을 역임한 신라 건국 초기의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대보(大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때, 대보 등을 역임한 신라 건국 초기의 관리.
내용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족성(族姓)은 자세하지 않으나 본래 왜인으로, 처음에 박[瓠]을 허리에 차고 바다를 건너 온 까닭에 호공이라 일컬었다고 한다.

이러한 설화로 보아 사로국(斯盧國)의 중심지로서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강림지(降臨地)라고 하는 양산(楊山) 기슭에 근거하여, 사로국의 성장 과정에서 중요한 구실을 수행한 이주민 집단의 지도자였던 것 같다.

서기 전 20년(혁거세 38) 2월 마한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불충실한 조공을 꾸짖는 마한왕에게 사로국의 성장을 과시하고 귀국하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탈해 이사금이 즉위하기 전에 지략으로써 호공의 집을 빼앗았다고 전한다. 이것은 탈해 이사금의 석씨 세력과 호공 세력이 접촉하게 되는 계기로서, 그 뒤 호공의 활동으로 보아 두 세력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음을 알수 있다.

즉, 호공은 58년(탈해이사금 2) 대보(大輔 : 초기의 재상)에 임명되어 군국정사(軍國政事)를 담당하였으며, 김알지(金閼智)의 탄생 설화에 관련된 것으로 보아 김씨 세력과 석씨 세력의 매개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호공이 박을 차고 왔으며, 박혁거세가 박모양의 큰 알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박씨라고 칭하였다는 공통점에서 박씨족의 한 분파라고 간주하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동사강목(東史綱目)』
『신라국가형성사연구(新羅國家形成史硏究)』(이종욱, 일조각, 1982)
「신라석탈해신화(新羅昔脫解神話)의 형성기반(形成基盤)-영웅전설적성격(英雄傳說的性格)을 중심(中心)으로-」(김두진, 『한국학논총(韓國學論叢)』8, 1986)
「신라병부령고(新羅兵部令考)」(신형식, 『역사학보(歷史學報)』61,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