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6판. 114면. 1941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하였다. 서두에 백석(白石)의 「호박꽃 초롱 서시(序詩)」가 있다.
작품을 5부로 나누어 ‘호박꽃 초롱’에 9편, ‘모래알’에 12편, ‘조그만 하늘’에 12편, ‘돌멩이’에 2편으로 모두 3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닭」 · 「보슬비의 속삭임」 · 「호박꽃 초롱」 · 「따리아」 · 「언덕길」 · 「잠자리」 · 「조그만 하늘」 등이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
여기 수록된 동시들은 한결같이 살아 움직이는 리듬감과 직관적인 표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또한 이상주의적 기조 위에서 자연과의 동화 또는 몰입의 자세와 함께 현실에 대한 밝고 건강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닭」이나 「호박꽃 초롱」 · 「보슬비의 속삭임」 등에서 보이듯이, 전형적인 음수율에 구애됨이 없이 고도의 시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은 강소천의 예술적 재능을 말해준다. 「달밤」이나 「봄비」에서는 관조와 사색의 깊이를 보여주었고, 「조그만 하늘」에서는 종래의 동시 · 동요에 대한 통념을 넘어선 뚜렷한 개성을 표현하였다.
맨 끝에 실린 「돌멩이」Ⅰ · Ⅱ는 산문이다. 이것은 민족적 고난과 비애를 상징한 내용으로서, 아이들의 상상력과 돌멩이와의 감정이입을 자연스럽게 동화시켜,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동화인데, 산문이면서도 시적인 분위기를 강하게 풍겨준다. 그런 뜻에서 강소천은 이 작품들을 자신의 시집 속에 포함시킨 것 같고, 이 「돌멩이」Ⅰ · Ⅱ에서 보여준 동화정신이 바탕이 되어 이후 100여 편의 동화 또는 소년소설을 낳게 된다.
신문학 이후 조국 광복에 이르기까지 발간된 두 권의 동시집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이 『호박꽃 초롱』이다. 이는 우리 아동문학의 개척자인 윤석중(尹石重)의 영역을 더욱 확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것은 초기의 가창동요(歌唱童謠)의 인습적 형식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세계를 구축하여 동시문학의 본질을 제시하였다. 우리 문학사상 시다운 동시의 출발은 이 『호박꽃 초롱』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동시집은 강소천이 1930년 문단에 등단한 이래 10여 년간 발표한 작품들을 모은 것인데, 일제 말기의 발악적인 국어말살정책 밑에서 우리말 우리글로 된 창작 동시집을 내었다는 점에서 이 시집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는 더욱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