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보다 잔인포악한 사람의 본성을 풍자적으로 담은 내용이다. 작자의 문집인 『어우집(於于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이가원(李家源)이 『한국한문학사』에서 전문을 수록하고 ‘호정’이라 약칭을 썼다. 그 뒤로 ‘호정’이라 부르기도 한다.
하늘이 열리고 땅이 생기고 인간이 태어난 뒤로 호랑이보다 잔포한 것은 없었다. 그래서 요임금·우임금·주공과 같은 성인이 나와서 이들을 내쫓아 백성들이 편안히 살도록 하였다. 그러나 호환은 그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리산·대둔산·계룡산·속리산 등의 명산 거악이 많아서 호랑이의 피해가 그치지 않았다. 그래서 행상을 다니다가, 혹은 농사를 짓다가 해를 당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낚시를 하다가 혹은 물을 긷다가 변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때에 무인 홍공(성명 미상)이 호랑이를 잡기 위하여 덫을 설치하였다. 덫을 설치한 뒤에 피곤하여 잠깐 잠이 들었다. 꿈속에 창귀(倀鬼)가 큰 호랑이를 타고 나타났다. 그리고는 “왜 호랑이를 잡으려고 하느냐?”면서, 인간은 호랑이보다 더 잔포한 존재임을 말한다.
인간은 죄 없는 돌을 쪼개고, 죄 없는 나무를 자르고, 죄 없는 물고기를 그물로 잡고, 죄 없는 동물을 덫으로 잡는다. 그리고 같은 인간끼리 서로 헐뜯고 싸운다. 그러니 인간은 호랑이보다 훨씬 잔혹하다는 것이다.
「호정문」은 『예기』의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사납다.”와 같이 인간이 호랑이만 못하다는 인식을 보여 준다. 그리고 인간의 잔심과 폭성은 호랑이의 사나움보다 훨씬 지나치다는 것을 창귀의 입을 빌려서 말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에 편을 나누어 정쟁을 일삼는 당쟁의 고질적 병폐를 목도한 작자의 현실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호정문」은 문학사적 측면에서 호랑이의 효심과 우애를 통하여 인간의 윤리의식을 고취시킨 「호변(虎變)」의 맥락을 이은 글이다. 그리고 호랑이와의 비교를 통하여 인간의 악랄한 심성을 드러내줌으로써 올바른 인간상을 만회하려는 노력을 보여준 글이다. 조선 후기 이광정(李光庭)의 「호예(虎倪)」를 거쳐서 박지원(朴趾源)의 「호질(虎叱)」에까지 깊이 영향을 미친 글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