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간 ()

홍애선생유고
홍애선생유고
한문학
인물
고려 후기에, 비서윤, 원주주관, 동래현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운(子雲), 운부(雲夫)
홍애(洪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04년(충렬왕 30)
본관
풍산(豊山)
주요 관직
원주의 주관(州官)|동래현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비서윤, 원주주관, 동래현령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자는 자운(子雲) 또는 운부(雲夫), 호는 홍애(洪崖). 본관은 풍산(豊山). 아버지는 지경(之慶)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266년(원종 7)에 민지(閔漬)가 장원하였던 과방(科榜)에 함께 등제하였다. 벼슬이 비서윤(祕書尹)을 거쳐 도첨의사인(都僉議舍人) 지제고(知製誥)에 이르렀다. 뒤에 원주의 주관(州官)으로 나갔다가, 언사(言事) 때문에 동래현령으로 좌천되어 그 곳에서 별세하였다.

시문에 능하였고, 시체가 청려한 것으로 이름이 높았다. 이제현(李齊賢)은 『역옹패설(櫟翁稗說)』에서 “그가 시 한편을 지어 낼 때마다 어진 사람이나 그렇지 못한 사람이나 모두 그 시를 좋아하여 서로 전해가며 외웠다.”고 하였다. 그의 시가 뛰어나서 당시에 널리 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허균(許筠)도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그의 시가 “아름다우면서도 맑고 곱다.”고 평하였고, 홍만종(洪萬宗)도 『소화시평(小華詩評)』에서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허균이 뽑아준 우리나라 사람들의 시선집을 밤새워 읽고 “이인로(李仁老)와 홍간의 시가 제일 좋다.”고 하였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특히, 당시에는 모두 송나라 시를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당나라 시를 배운 것이 높이 평가되는데, 허균은 “「난부인(嬾婦引)」·「고안행(孤雁行)」 등의 작품이 매우 뛰어난데, 성당의 작품과 같다.”고 하였으며, 홍만종은 “당조(唐調)를 깊이 얻어 송나라 사람의 기습(氣習)을 벗어났다.”고 하였다.

저서에 12대손 홍방(洪霶)이 여러 시선집에 전하는 것을 모아 편찬한 『홍애집』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홍애집(洪崖集)』
『역옹패설(櫟翁稗說)』
『성수시화(惺叟詩話)』
『소화시평(小華詩評)』
『이계집(耳溪集)』
「홍애집해제(洪崖集解題)」(천혜봉, 『고려명현집』 5,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