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구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마차의 행렬」, 「잊어버린 자장가」, 「목마」 등을 저술한 소설가. 평론가.
이칭
이칭
진복(振福)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8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서울
관련 사건
신건설사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마차의 행렬」, 「잊어버린 자장가」, 「목마」 등을 저술한 소설가. 평론가.
개설

서울 출생. 본명은 진복(振福).

생애

1930년 경기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1931년 카프(KAPF: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에 가입한 뒤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1933년 「마차의 행렬」을 『신동아』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한 뒤 1934년 다른 카프 맹원들과 함께 ‘신건설사’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

소년지 『신소년』에 관계하여 일하기도 하였다. 1945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 겸 홍보부장을 지냈으며, 월북하여 계속 작품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활동사항

주요 작품으로는 「코뿔선생」(『신동아』, 1933)·「잊어버린 자장가」(『신여성』, 1933)·「젊은이의 고민(苦悶)」(『형상』, 1934)·「서분이」(『조선문학』, 1936)·「종달새」(『여성』, 1937)·「여(女)」(『비판』, 1937)·「목마(木馬)」(『조선문학』, 1939)·「자웅(雌雄)」(『비판』, 1939)·「앵무(鸚鵡)」(『신건설』, 1945)·「별을 안고」(1946)·「조그만 애사(哀史)」(『여성공론』, 1946)·「뒷골방천 사람들」(1947)·「꽃」(1947) 등의 단편소설이 있다. 소설집으로는 『유성(流星)』(아문각, 1948)이 있다.

광복 전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카프의 일원으로 활동하긴 했지만, 홍구의 소설에는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과 함께 남녀의 애정문제가 주요 테마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홍구의 애정소설은 약간 통속적인 성향을 띠고 있지만 동시에 가난한 사람들을 그리는 휴머니즘이 담겨져 있다.

그밖에 희곡작품으로 「삼월일일(三月一日)」(『우리문학』, 1946)이 있으며, 평론으로 「1933년 여류작가(女流作家)의 군상(群像)」(『삼천리』, 1933)·「박영희론(朴英熙論)」(『풍림』, 1937)·「안동수(安東洙)의 창조적 세계」(『백제』, 1947) 등이 있다.

수필로는 자결한 한글학자 신명균(申明均) 선생을 추모하는 내용을 그리고 있는 「주산선생」(『신건설』, 1945)을 비롯하여 「내 맵씨」(『여성공론』, 1946)·「청와의 변」(『인민』, 1945) 등이 있다.

참고문헌

『광복뒤의 우리문학연구』(김상선, 집문당, 1996)
『20세기 한국문학(韓國文學)의 이해(理解)』(유병석, 한양대학교출판부, 1996)
『북한문학사전』(이명재 편, 국학자료원, 1995)
『문학사의 길찾기』(정영진, 국학자료원, 1993)
『남북한문학사연표』(한길사, 1990)
『월북문인연구(越北文人硏究)』(권영민 편, 문학사상사, 1989)
「홍구의 애정소설과 기교의 문제점」( 김우종, 『한국해금문학전집』, 삼성출판사,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