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복사 칠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평양 용화사 / 홍복사 육각칠층탑
평양 용화사 / 홍복사 육각칠층탑
건축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 모란봉에 있는 고려시대 6각 7층 석조 불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 모란봉에 있는 고려시대 6각 7층 석조 불탑.
내용

높이 5.35m. 원래 이 탑은 평천구역 평천동 홍복사지에 있었던 것을 일제강점기 때평양역 앞에 옮겼다가 다시 대동문(大同門) 옆으로 옮기고, 1933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이 탑은 6각 7층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석을 쌓아올린 6각형 평면구조를 가진 석탑이다. 탑의 하층기단은 바닥돌 위에 차례줄임한 6각의 돌을 세 단으로 놓았는데, 바닥단 한 변의 길이는 1.29m이다.

하나의 높은 단을 이룬 하층기단의 갓돌은 상층기단 가운뎃돌의 받침대 형식으로 하였다. 윗면이 곧은 상층기단 갓돌과 하층기단 갓돌에는 상층기단 가운뎃돌을 사이에 두고 연꽃잎을 높이 돋우어새겨 마주보도록 하였다.

6각 탑신의 각 면에는 모기둥을 돋우어 새겼으며, 복판 벽감(壁龕 : 벽체의 오목하게 팬 부분)에는 불상들을 돋우어 새겼는데 모두 42개나 된다. 추녀마루선과 지붕면의 휨을 넉넉히 준 6각형의 탑 지붕처마는 두꺼운데, 추녀밑선은 곧게 하고, 윗선만 약간 들어 주어 경쾌한 느낌을 준다.

처마받침은 가느다란 선으로 처리하여 처마가 깊어 보인다. 탑머리에는 노반(露盤) 위에 활짝 핀 연꽃송이와 연꽃봉오리를 올려놓았다.

이 탑은 전 시기 탑들의 장점들을 이어받으면서 새롭게 독특한 형식을 창조하였는데, 이는 전 시기의 사각형 탑형식을 벗어나 새롭게 다각형의 탑형식으로 발전시킨 것, 기단의 폭을 줄이고 석조받침대 형식으로 한 것, 수직적 요소를 강조하여 탑의 층수를 증가시킨 데 어울리게 일정한 비례로 완만한 차례줄임을 준 것, 탑신 각 면에 다채롭게 조각장식을 하고, 탑머리에도 활짝 핀 연꽃송이 위에 놓인 연꽃봉오리를 환각하여 노반과 보주(寶珠)로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홍복사석탑은 이처럼 새로운 형식으로 탑 전체의 짜인 균형미를 보장하면서도 경쾌하고 장중한 느낌과 아름답고 부드러운 느낌을 조성하였다.

참고문헌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