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류놀이 (놀이)

목차
관련 정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연소답청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연소답청
민속·인류
놀이
음력 3월 무렵 화창한 봄날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어 산기슭이나 산골짜기에서 하루종일 즐기는 민속놀이. 세시풍속.
이칭
이칭
꽃달임
목차
정의
음력 3월 무렵 화창한 봄날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어 산기슭이나 산골짜기에서 하루종일 즐기는 민속놀이. 세시풍속.
내용

음력 삼월 무렵이면 날씨가 온화하여져 산과 들에는 온갖 꽃들이 피어나고 마른나무 가지에서도 새싹이 돋기 시작한다. 이 때가 되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각자 무리를 지어 경치 좋은 산으로 놀러가 하루를 즐기는데 이를 화류놀이 혹은 꽃놀이라 한다.

삼월 삼짇날을 전후하여 화창한 날을 골라 제각기 좋아하는 음식을 정성껏 만들어 가지고 산기슭이나 산골짜기 사이에 자리를 잡고 해가 서산으로 기울 때까지 하루를 즐기다 진달래꽃 등을 꺾어 만든 ‘꽃방망이’를 들고 삼삼오오 짝을 지어 장단을 치면서 흥겹게 산을 내려온다.

이 화류놀이는 우리의 일반적인 세시풍속으로서 예로부터 성행되어왔으므로 많은 기록을 통하여 당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지금도 도처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열양세시기 洌陽歲時記≫ 삼월조에는 “서울의 버들과 꽃은 3월에 성하여 남산(南山)의 잠두(蠶頭)와 북한산의 필운대(弼雲臺)와 세심대(洗心臺)는 놀이하는 이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이고 안개같이 자욱하여 한달 동안 줄어들지 않았다.”고 하였고, 옛 시조에는 “낙양(洛陽) 삼월시에 곳곳이 화류(花柳)로다/만성(滿城) 춘광(春光)이 그림에 들었세라/아마도 당우(唐虞)세계를 다시 본듯하여라.” 하여 서울의 화류놀이 광경을 읊고 있다.

또한, 구전되어오는 민요 <꽃노래>에는 “이때 저때 어느 때냐, 춘삼월 좋은 때라/울 아버지 생신 땐가, 술은 좋아 금청주라/그 술 먹고 취중 끝에 노래 한 장 불러보자/쫓아가는 자미화(紫薇花)는 가지마다 금빛이라/청류(지조 있는)기생 살구꽃은 해를 걸고 휘돌았네/무릉도원 복숭아는 그물 안에 걸리시네/섬 우에 모란꽃은 꽃 중에도 임금일세/돌아 못간 두견화는 촉국(蜀國)산천 생각한다/열없는 할미꽃은 남보다 먼저 피고/사시장춘(四時長春:어느 때나 늘 봄빛임) 무궁화는 우리 나라 꽃이라네.”라 노래하고 있는데, 이 <꽃노래>는 여성들만의 화류놀이에서 즐겨 불리던 것이다.

참고문헌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경도잡지(京都雜志)』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의 세시풍속』(최상수, 고려서적, 1960)
『한국시가(詩歌)의 민속학적연구』(김선풍, 형설출판사, 1977)
『한국세시풍속연구』(임동권, 집문당,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